깃고사가 행하여지는 능길 마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800020
한자 -告祀-行-能吉-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능금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선아

[개설]

진안군에는 매우 독특한 민속인 깃고사가 동향면 능금리 능길 마을백운면 백암리 상백암 마을에서 전승되고 있다. 다른 지역에서는 기세배라 하여 기 싸움 놀이가 있고 깃절 또는 농기 맞이라 하여 깃고사를 지내고 있으나 두 마을에서 행하여지는 깃고사는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당산제의 성격이 강한 것이 큰 특징이 있다. 깃고사가 대부분 사라진 현대까지도 행하여지고 있어 능길 마을의 깃고사는 의미가 크다. 또한 능길 마을 기는 아니지만 상백암 마을 기에 명문이 남아 있어 그 역사성을 증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되기도 하는데 이는 진안 지역 깃고사의 연원을 추축해 볼 수 자료가 되기도 한다.

여기에서는 능길 마을의 유래와 깃고사의 연원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전라북도 장수군의 깃절 놀이와 비교하여 차이점을 살펴보고 능길 마을 깃고사의 구성 요소와 의례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마을 축제로서의 깃고사 가능성 대하여 언급하고자 한다.

[능길 마을의 마을 풍수와 유래]

능길 마을 상능[웃담]과 하능[아랫담]의 주산은 해발 757m의 국사봉이다. 국사봉 줄기에서 내려오는 큰 재는 양쪽으로 불당골 줄기로 상능이 형성되어 있고 귀신골 줄기로 하능이 형성되어 있다. 마을 앞으로는 남덕유산에서 내려오는 물줄기인 구량천이 마을 앞을 가로지른다. 구량천 건너편 안산으로 해발 520m의 깃대봉이 있다.

능길 마을진안군 동향면 능금리(能金里)에 속하는데 본래 용담군 일동면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호산리와 능산리를 병합하여 능산과 금곡의 이름을 따서 능금리라 하여 진안군 동향면에 편입되었다. 능금리는 내금[안쇠실], 상능[능길 웃담], 외금[바깥 쇠실], 추동[가래골], 하능[능길 아랫담] 등 5개의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능길 마을은 금광이 많아 ‘금방아실’이라 불렸는데, 이것을 한자로 표기하여 ‘능금’이 되었다고 하며, 실제로 마을 주변에서 사금(砂金)이 많이 나온다고 한다. ‘용담에서 제일은 능길이요, 둘째는 주지내[주천면]이며, 셋째는 포안[안천면 소재지]이다’라는 말이 화자 되고 있을 정도로 능길 주민들은 용담군이던 시절 살기 좋았다고 한다.

능길 마을남원 양씨, 함안 정씨, 수원 백씨에 의하여 형성되었다. 마을에서는 '양 백 정씨‘가 마을을 개척했다고 하나 마을 형성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능길 마을 깃고사 연원]

능길 마을 깃고사가 정확하게 언제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마을 사람들은 1800년대에 기가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정확한 근거는 없다. 반면 진안군 백운면 백암리 상백암 마을 기에는 한문으로 “광무(光武) 원년(元年) 2월(二月) 1일(一日) 시설(始設)/ 단기(檀紀) 4292년(四二九二年) 2월(二月) 1일(一日) 중수(重修)”라 적혀 있어 광무 원년인 1897년에 깃발이 제작되면서 깃고사가 행하여졌고, 1959년에 다시 깃발이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 원강정 마을용대기에는 한문으로 “창시(創始) 도광(道光) 15년(十五年) 3월(三月) 일(日) 갑자(甲子) 칠월(七月) 일(日) 수보(修補) 전북(全北) 진안(鎭安) 마령(馬靈) 강정리(江亭里) 용대기(龍大旗)”라 적혀 있어 1835년에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능길 마을 기에는 “능사사명(能社司命)”이 새겨져 있는데 마을을 보호해 주는 신(神)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능길 마을에서는 깃고사를 지내면서 한 해의 안녕을 기원한다. 그래서 능길 마을 깃고사는 일종의 당산제의 성격을 띠고 있다.

[능길 마을 깃고사의 성격]

능길 마을에서 기를 세우면서 제의를 행하는 것을 깃고사라 한다. 일반적으로 다른 지역에서는 마을의 농악대가 농기를 앞세우고 정해 놓은 장소에 모여 농기의 오래된 순서에 따라 새해 인사를 나누는 ‘기 세배’나 ‘깃절’ 또는 ‘농기 맞이’를 한다. 특히 전라북도 장수군의 ‘깃절 놀이’는 능길 마을 깃고사와의 차이점을 쉽게 이해 할 수 있는 사례이다.

장수 깃절은 장수군 장수읍 13개 자연 마을이 함께 했던 놀이였다. 부모기를 비롯한 아들기의 순서는 기의 제작 연대를 따르는데 가장 먼저 만들어져 오래된 기가 영감기이고 그 다음이 부인기, 장남기, 차남기 순서이다. 간단히 제의를 마치면 깃절이 시작된다. 깃절은 영감기와 부인기의 맞절로 시작된다. 영감기와 부인기의 인사가 끝나면 각 마을의 아들기가 큰아들부터 막내 아들기까지 순서대로 부모기인 영감기와 부인기에게 절을 한다. 장수군의 깃절놀이는 마을 단위의 공동체가 고을 공동체로 확대된 대동 놀이이다.

반면에 능길 마을 깃고사는 마을 회관 앞에 기를 세우고 제의를 행하는 마을 단위 행사이다. 이 깃고사는 정적이며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당산제의 성격을 띠고 있다. 능길 마을의 깃고사는 ‘대산지[큰산제]’로 어른을 모시는 것이어서 그 이전에 개인적인 고사는 지내지 않는다. 각 가정에서 개인적으로 절이나 무당을 찾는 것은 깃고사를 마친 후에나 가능한데, 능길 마을 깃고사의 당산제적 성격을 말해주고 있다.

[능길 마을 깃고사의 구성 요소]

능길 마을 깃고사 기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기는 큰 기와 작은 기가 있다. 큰 기는 1999년에 새로 제작된 것으로 기의 훼손 정도가 심하면 다시 제작하여 사용한다. 보통 기를 세우면 한 달 동안 세워놓기 때문에 10년 정도 지나면 낡아지곤 하여 새롭게 제작한다. 이때 낡은 기는 함부로 버리지 않고 잘 보관해 둔다.

큰 기는 가장 중심이 되는 기이다. 3×5m 정도 크기의 직사각형 흰 천에 검은 천으로 테두리를 쳐 놓고 있다. 가운데에 “능사사명(能社司命)”이라 적혀 있고 한쪽에 제작 연대인 1999년이 새겨져 있다. 기에 제작 연대와 명문을 새겨 넣는 것은 필수적이다. 능길 마을에서 현재 깃고사 때 사용하는 기는 1999년에 제작된 것이고 1982년에 제작된 기는 마을 회관에 보관하고 있다.

작은 기는 영기(令旗)라 부른다. 작은 기는 2개를 세운다. 검은 천에 ‘영(令)’자가 새겨져 있다. 깃대는 대나무에 새끼줄을 감아 놓은 형태이며 크기는 7m 정도 이다. 깃대는 마을에 2개가 있으며 마을 창고 처마에 보관하고 있다.

깃대 맨 위에 장식하는 것을 ‘꿩장목’이라고 하는데 흔히 꿩 깃털로 장식한다. 능길 마을에서는 꿩 깃털이 없어 깃고사를 지낼 때마다 짚으로 꿩장목을 장식한다. 꿩장목 바로 아래에 흰 천으로 감아 놓는 것을 ‘머리태’라고 한다. 흔히 영기에서는 꿩장목 아래에 수염을 다는데 능길 마을에서는 흰 천을 달아맨다. 기를 세워 묶을 수 있는 3개의 기다란 끈이 필요하며 3~4개의 버팀 쇠가 필요하다. 예전에는 논에 기를 세웠으나 지금은 마을 회관 앞에 세우고 있다.

[능길 마을 깃고사 의례 과정]

1. 제일과 제수 준비

능길 마을 깃고사는 음력 정월 초사흗날 오전 10~11시경에 지낸다. 그리고 한 달 후인 2월 초사흗날에야 기를 떼는데 깃고사를 지낸 후 한 달 동안 기를 달아 메어 놓는 것이다. 제주는 섣달에 대동회에서 결정하며, 초헌관·아헌관·종헌관·축관을 선정하고 집사 2명도 함께 선출한다. 제주는 동네에서 궂은 일이 없는 깨끗한 사람이 맡는데 상능과 하능이 교대로 정한다. 비용은 논 10마지기와 밭 약 1,322.3㎡에서 나온 것으로 충당하며, 제물로는 백설기·삼색실과·탕·전 등을 준비한다.

2. 축문

축문은 마을 주민 박찬언이 매년 시정하여 준비한다. 마을의 주신인 능사사명(能社司命)에게 마을의 해를 없애고 복을 기원하는 것으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유세차(維歲次) 간지(干支) 모월(某月) 간지(干枝) 모일(某日) 간지(干支) 유학(幼學) 모모(某某) 감소고우(敢昭告于) 능사사명명지하(能社司命命之下) 년년원삼갈립동천(年年元三揭立洞天) 일리헌성백가재천(一里獻誠百家齊薦) 가가정결인인희락(家家精潔人人喜樂) 일심치성소무해실(一心致誠少無害至) 재해원거복연일지(災害遠去福緣日至) 근이주과신존헌상향(謹以酒果敬伸尊獻尙饗)

3. 기 세우기

기 세우기는 우선 마을 회관 앞을 깨끗하게 청소한 후에 시작된다. 창고 처마에 보관 중인 깃대를 내려놓은 후에 회관에서 보관하던 기를 먼저 묶는다. 깃대 끝 부분에서 2m 정도 아랫부분에 묶는다. 이후에 ‘꿩장목’을 짚으로 깃대 끝 부분에 묶는다. 그리고 ‘꿩장목’ 바로 아래에 ‘머리태’라 하여 흰 천을 묶는다. 이후에 기를 세운다. 이와 함께 작은 기 2개도 함께 묶는다. 기를 세울 때에는 미리 세 곳에 버팀 쇠를 박고 세 줄의 끈으로 균형을 이루게 하여 팽팽하게 묶는다. 기를 세울 때 풍물을 울린다.

4. 제물 진설과 제의 진행

깃고사는 기를 세운 후 큰 기 바로 앞에 제물을 진설하고 풍물을 치면서 시작된다. 제는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으로 전통 유교식으로 진행된다. 제관들이 소지 종이를 나누어 들고 각자 마을과 가정의 안녕을 위해 한 장씩 올린다. 큰 소지 종이는 자르지 않고 둥글게 말아 소지를 올린다. 제를 마친 후 음복을 하며 제상에 올린 떡은 ‘재수떡’이라 하여 조금씩 나누어 먹고 마을 회관에 모여 점심을 먹으며 한 해를 설계한다.

5. 기 내리기

제를 지낸 지 한 달 후에 기를 내려놓게 되는데 2월 초하루 전에 바람이 심하게 불거나 이유 없이 기가 쓰러지면 기를 다시 세우고 정성스럽게 제를 다시 모신다. 겨우내 땅이 얼어다가 날씨가 포근해지면 쓰러질 수 있어 이러한 점까지 고려하여 기를 세운다고 한다.

2월 초하룻날 기를 내릴 때는 아침에 마을 사람들이 모여서 풍물을 울리면서 기를 내린다. 기를 세울 때와는 달리 술을 석잔 올린 후에 내린다. 세 갈래로 묶은 줄을 풀면 자연스럽게 기가 넘어가는데 이때 반드시 동쪽으로 쓰러뜨린다. 동쪽은 오는 방향이며 서쪽은 가는 방향이므로 반드시 길한 방향인 동쪽을 향하도록 한다. 기가 쓰러지면 기폭을 떼어내고 짚을 뭉쳐 만든 꿩장목도 떼어낸다. 기폭은 잘 접어서 함에 보관하고 영기도 내려 보관한다. 그리고 마을 회관에서 함께 식사를 하며 기 내리기를 마친다.

[대동적 공동체 축제로서 깃고사]

능길 마을 깃고사는 백운면 상백암 마을 깃고사와 함께 현재까지 제의가 전승되고 있는 중요한 민속이다. 과거 다른 지역에서 기세배라 하여 기 싸움 놀이가 있었으나 현재 대부분이 사라진 상황에서 능길 깃고사는 의미가 크다. 또한 상백암 깃고사는 기에 남아 있는 명문으로 그 역사성을 증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