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800792 |
---|---|
한자 | 黃金里-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민간 신앙 유적 |
지역 |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황금리 봉곡 마을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이택구 |
현 소재지 | 황금리 선돌 -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황금리 805
![]() |
---|---|
성격 | 유적 |
크기(높이,둘레) | 높이 80㎝, 너비 40㎝, 두께 30㎝[1호]|높이60㎝, 너비 25㎝, 두께 30㎝[2호]|높이 45㎝, 너비 20㎝, 두께 30㎝[[3호] |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황금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선돌.
황금리 선돌은 마을 중앙의 당산나무 아래 세워진 3기의 선돌로 주민들에 의해 일제 강점기에 세워진 민간 신앙 유적이다. 당산나무에 거의 붙어 세워져 있으며, 길가에서 바라봤을 때 왼쪽의 것[남]이 1호, 중앙이 2호, 오른쪽의 것[북]이 3호이다. 수구막이 혹은 액막이 구실을 하는 선돌로 보이며, 현재 특별한 의례 행위가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황금리 선돌은 황금리 봉곡 저수지 방면으로 난 길을 따라 올라가다 보면 왼편으로 봉곡 마을로 들어가는 시멘트 길이 나오며, 이 길을 따라 마을로 들어가면 마을 중앙, 도로의 왼편으로 당산나무가 있고, 그 나무의 아래로 세 기의 선돌이 줄지어 있다. 도로에서 봤을 때 가장 왼쪽이 1호, 중앙이 2호, 오른쪽의 것이 3호이다.
보통 선돌은 그 크기나 형태에 따라 암 선돌, 숫 선돌로 구분되는데, 황금리 선돌은 당산나무 아래로 3기가 줄지어 서 있어 그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 다만 그 생김새로 보았을 때 1호는 그 생김새가 울퉁 불퉁하고 끝부분이 돌출되어 있어 숫 선돌, 2호는 끝부분이 뾰족하게 생겨 숫 선돌, 3호는 네모 반듯하고 윗부분이 평평하며 고사리처럼 아이가 주먹을 쥔 모양을 하고 있어 암 선돌로 볼 수 있다. 3기 모두 암질은 화강암이며 1호는 자연석을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 보이며, 2호와 3호는 자연석을 일부 다듬어 세워 놓은 것으로 보인다.
당산나무 아래 자리하고 있는 황금리 선돌은 현재 특별한 의례 행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만 마을 주민들은 제일 큰 1호 선돌을 아빠 선돌, 2호는 엄마 선돌, 3호는 아기 선돌이라 부른다.
황금리 선돌은 마을 가운데의 당산나무 아래에 나란히 자리하고 있으며 당산나무 주위를 보호하기 위해 바른 시멘트가 선돌 주위로도 발라져 있다. 특별한 의례행위나 관리가 되지 않아 선돌 표면에 이끼가 낀 곳도 있다.
황금리 선돌은 마을의 당산나무 아래에 줄지어 3기가 세워져 있는데 마을 입구 길가의 양 옆으로 세워지는 일반적인 선돌과 달리, 입구가 아닌 당산나무 아래 줄지어 세워져 있는 점이 이채롭다. 마을 주민들도 막연히 아빠, 엄마, 아기 선돌로 부르며, 세워진 시기만을 알 뿐 어떠한 의미로 세워져 있는지는 알지 못하나 일제 강점기의 근대 유산으로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