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800650
한자 新陽里新廣石陶窯址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 신양리 906-2|925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곽장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7년 - 신양리 신광석 도요지 국립 전주 박물관에서 지표 조사 실시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7년 - 신양리 신광석 도요지 전주 대학교 박물관에서 지표 조사 실시
소재지 신양리 신광석 도요지 -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 신양리 906-2 지도보기
소재지 신양리 신광석 도요지 -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 신양리 925 지도보기
성격 가마터

[정의]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 신양리에 있는 조선 시대 백자 가마터.

[위치]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 소재지에서 지방도 725호선을 따라 1.5㎞쯤 가면 신양리 신광석 마을이 나온다. 이 마을 북서쪽과 남쪽에 서로 50m가량 떨어진 상태로 2개소의 도요지가 있다. 주천면 신양리운봉리 경계인 탁고개 북쪽 기슭으로 그 서쪽 봉소골에 3개소의 도요지로 구성된 신양리 봉소 도요지가 있다. 이 일대는 진안군에 밀집 분포된 100여 개소의 도요지 중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1997년 국립 전주 박물관에서 『전북의 조선 시대 도요지』 편찬을 위한 지표 조사를 통해 처음 학계에 보고되었으며, 2007년 전주 대학교 박물관에서 『문화 유적 분포 지도』 제작을 위해 지표 조사가 추가로 이루어졌다.

백자편과 요도구 편, 요벽 편이 봉소골에 광범위하게 흩어져 있는데, 백자 편은 대접과 접시가 유물의 절대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구연부가 외반된 완과 보시기, 종지, 잔도 포함되어 있다. 굽은 굽 안 바닥이 우묵한 다리 굽과 안굽식 낮은 다리 굽이 있다. 문양이 없는 무문으로 색조가 청백색과 회백색, 회색이 있는데 청백색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소성 방법은 굵은 규사 받침과 굵은 규사가 섞인 흙 받침으로 모두 포개어 구웠다. 요도구인 도지미는 경사진 원형 도지미와 경사진 방형 도지미가 섞여 있다.

[현황]

신양리 신광석 도요지 A는 신광석 마을 북서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진안 주천면 운봉리 봉수로 연결되는 등산로 입구에 해당한다. 요지는 민묘 구역을 조성하는 과정에 대부분 파괴되었고, 이 일대에 백자편과 요벽 편, 도지미 등이 흩어져 있다.

신양리 신광석 도요지 B는 신광석 마을 남동쪽 탁고개골 입구에 자리하고 있다. 이 마을에서 탁고개골 방향으로 100m가량 떨어진 곳으로, 계단식 농경지와 민묘 구역을 조성하는 과정에 도요지가 심하게 유실이나 훼손되었다. 탁고개골 입구 농경지와 민묘 구역에 백자 편과 요벽 편, 도지미가 광범위하게 흩어져 있는데, 그 분포 범위가 150m 남짓 된다.

[의의와 평가]

종래에 분청사기 요지로 학계에 보고되었는데, 1997년 국립 전주 박물관 주관으로 시행된 지표 조사를 통해 성격이 백자 요지로 바뀌었다. 백자편과 요도구 편, 요벽 편이 봉소골에 광범위하게 흩어져 있는데, 분포 범위가 450m에 달한다. 주천면에 밀집 분포된 도요지 중 규모가 가장 크고 유물 종류도 매우 다양하여 진안고원 백자의 발전 과정과 성격을 밝히는 데 매우 중요한 유적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