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집
-
전라북도 진안군에서 발행한 김치인(金致寅)의 처사교에 관한 법언(法言)을 집록한 책. 『광화 김처사 법언록(光華 金處士 法言錄)』은 김용배(金庸培)가 1923년에 집록한 책이다. 서문·찬문·내편·외편·잡편·부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불·선(儒佛仙) 삼교 합일의 특징을 갖추고 있다. 조선 말 내우외환(內憂外患)의 시기에 이운규는 새로운 시대를 열기 위하여 유...
-
전라북도 진안군 출신의 조선 말 학자 허형(許炯)의 글을 모아 1939년에 간행한 유고 문집. 허형(許炯)이 쓴 『금호문집』은 시(詩), 서(書), 기(記), 발(跋), 경의(經義) 등의 글을 모아 10권 5책으로 간행한 문집이다. 허형(許炯)은 조선 말의 학자이다. 본관은 하양(河陽), 이조 판서를 지낸 허성(許誠)의 17세 후손이다. 허형의 본가...
-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 주양리에 은거했던 조선 후기 학자 긍구당(肯構堂) 김중정(金重鼎)이 저술한 문집. 『긍구당유고(肯構堂遺稿)』는 긍구(肯構) 김중정(金重鼎)이 저술한 문집이다. 그의 9세손 김태현(金泰鉉)과 김상현(金尙鉉) 등이 모아 1899년에 간행하였다. 책은 권의 구분이 없는 1책으로 된 목활자본이다. 서(序)와 목록(目錄)의 뒤에 상량문(上樑文)과...
-
전라북도 진안에서 조선 후기에 활동한 삼의당(三宜堂) 김씨의 시문집. 김삼의당(金三宜堂)[1769~1823]은 당호가 삼의당(三宜堂), 본관은 김해이다. 전라북도 남원의 서봉방(捿鳳坊)[현 교룡산 서남 기슭]에서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1464~1498]의 후손 김인혁(金仁赫)의 딸로 태어났다. 1786년(정조 10) 18세가 되던 해에 같은 해, 같은...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방화리에서 살았던 담락당 하립이 남긴 조선 후기 시문집. 『담락당 시집(湛樂堂詩集)』은 하립이 남긴 시문집으로 전라북도 진안과 남원에 관한 시문이 많이 실려 있다. 특히 진안 마이산(馬耳山) 천지탑과 관련한 내용이 실려 있어 주목된다. 하립의 부인은 『삼의당고』를 남긴 삼의당 김씨로 담락당과 삼의당은 부부 시인이었다. 마이산 탑영지(塔影...
-
전라북도 진안 출신인 유학자 허명렬(許明烈)이 지은 석판본 문집. 『동연집(東淵集)』은 용담 향교의 전교를 지내며 후학을 양성하던 허명렬(許明烈)[1897~?]의 글을 묶은 문집이다. 허명렬은 한일 합병 조약 이후에 진안에 은거하며 경서를 읽으며 국권 상실의 시대를 글을 쓰며 지냈다. 하지만 저술 중 많은 부분이 6·25 전쟁 때 소실되었는데, 1970년에 재...
-
조선 시대 전라북도 진안 출신의 학자 이규형의 문집. 이규형(李圭衡)의 문집 『모현 시집』은 모현공의 유고(遺稿)를 아들 이한수(李漢綉)와 이한식(李漢植)이 정리하여 1994년 간행하였다. 번역은 황안웅(黃安雄)이 하였고, 출판은 최규영이 맡았다. 『모현 시집』은 단권(單券)의 인쇄본이다. 지질은 양지로 크기는 가로 19㎝, 세로 26㎝이다. 『모현...
-
전라북도 진안 출신의 유학자이자 독립운동가인 정종엽(鄭鍾燁)의 문집. 정종엽(鄭鍾燁)[1885~1940]은 초명은 진용(晉鏞)·진희(鎭喜), 호는 수당(修堂)이다. 진안군 마령면 계남리에서 태어났다. 간재(艮齋) 전우(田愚),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과 교유하였다. 28세 때에는 이석용과 항일 우국 결사 조직인 임자동 밀맹단(壬子冬 密盟團)에 가입하여 활동...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출신의 최제학(崔濟學)의 문집. 최제학(崔濟學)은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에 활동하였던 유학자이자 독립 운동가로서, 자는 중열(仲悅)이고 호는 습재(習齋)이다. 최제학은 1882년 3월 17일 진안에서 태어나 1961년 5월 15일에 죽었다. 1906년에 최익현의 의병진의 간부로서 의병을 모집하고 군비를 편성하는 등의 활약을 하였다. 일본군...
-
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 출신의 유학자 이병항이 지은 문집. 전북 진안군 정천면 출신의 유학자이며 교육자인 이병항(李秉恒)이 1939년에 필사 편집한 문집으로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 5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은(靜隱) 이병항(李秉恒)[1862~1946]이 자신이 저술한 시, 산문, 상량문, 행장, 논설, 연보, 산록 등을...
-
전라북도 진안군 성수면 좌포리에 살았던 이도복(李道復)의 글을 엮은 책. 『후산집(厚山集)』의 표제는 『후산시고(厚山詩稿)』로 되어 있고, 2권 1책이다. 권1은 이도복의 시들을 모아 엮은 것이고 권2는 이도복이 주고받은 편지, 서(書)를 모아서 엮은 것이다. 이도복은 1862년에 경상남도 산청군 신안면에서 태어나 1938년에 죽었다. 남명의 학문을...
시문
-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 호계리에 살았던 긍구당 김중정의 묘갈명. 「긍구당 김중정 묘갈명(肯構堂 金重鼎 墓碣銘)」에는 “긍구당 김공 중정 묘갈명(肯構堂金公重鼎墓碣銘)”이라고 적혀 있으며 박성양(朴性陽)이 1889년에 지었다. 현재 비석은 남아 있지 않으며 묘갈명의 내용은 1925년에 편찬한 『진안지(鎭安誌)』와 2004년에 편찬한 『진안군 향토 문화 백과사전』...
-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 대불리 운장산 일대에 포교된 신종교인 남학과 금강 불교와 관련된 가사. 남학 가사는 『금강 불교 발원문』에 수록되어 있는 한글 가사이다. 『금강 불교 발원문』은 필사본으로 작자와 저작 시기가 미상이다. 따라서 남학 가사의 저작 연대도 정확히 알 수가 없지만 『금강 불교 발원문』에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남학과 금강 불교가...
-
조선 후기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마이산에 있는 수행굴과 금당사(金塘寺)를 보고 조귀상이 읊은 시. 유현재(猶賢齋) 조귀상(趙龜祥)[1645~1712]은 선산 부사(善山府使)와 무주 부사(茂朱府使)를 지냈다. 문집으로는 『유현재집(猶賢齋集)』 2권이 있다. 조귀상이 선산 부사 시절에 선산의 양가 규수인 향냥(香娘)이 남편에게 핍박받고 숙부에게 개가를 강요당하자 연못에 빠...
-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마이산에 대해 소개한 이도복(李道復)의 기문(記文). 「마이산기」는 후산(厚山) 이도복(李道復)[1862~1938]이 오채열(吳采烈)의 부탁을 받고 저술한 기문(記文)이다. 마이산 명칭의 유래와 영험함, 그리고 마이산을 찾은 유명 인사들과 덕인들에 대하여 문헌의 내용을 들어 소개하였다. 또한 마이 구곡에 대한 인문적인 해설을 포함하여 자...
-
전라북도 진안군 마이산을 소재로 조선 전기의 문신 김수동(金壽童)이 읊은 한시.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마이산을 읊은 시 「마이쌍봉(馬耳雙峯)」은 김수동이 작시한 것으로 정확한 저작 시기는 알 수 없지만 그가 전라도 관찰사로 있을 때인 1497년 여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김수동[1457~1512]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미수(眉叟), 호는...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반송리에 있는 만육(晩六) 최양(崔瀁)의 자취를 기리기 위해 세운 기념비의 비문. 「만육 최양 선생 유허비 묘갈문」은 만육 최양 선생 유허비에 적혀 있는 비문이다. 비문의 주인공 최양[1351~1424]은 고려 말기의 문신으로 두문동 72현의 한 사람이다. 비문은 전라남도 순창 출신으로 성리학자이며 서예가로 당대에 널리 알려졌던 노사(蘆...
-
조선 후기 조귀상이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마이산 수행굴을 다녀와서 지은 기문. 유현재(猶賢齋) 조귀상(趙龜祥)[1645~1712]은 선산 부사(善山府使)와 무주 부사(茂朱府使)를 지냈다. 문집으로는 『유현재집(猶賢齋集)』 2권이 있다. 조귀상이 선산 부사 시절에 선산의 양가 규수인 향냥(香娘)이 남편에게 핍박받고 숙부에게 개가를 강요당하자 연못에 빠져 죽은 일화를 『향...
-
개항기 매천 황현이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에 있는 누정 쌍계정에서 지은 시. 「쌍계정」의 저자 황현[1855~1910]은 조선 후기의 문인으로 자는 운경(雲卿), 호는 매천(梅泉)이다. 그는 시재를 널리 인정받아 이건창·김택영·강위와 더불어 한말 4대가로 불리며, 한말 최고의 시인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이다. 문집으로는 『매천집』이 있다. 쌍계정 누각은...
-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오산리에 살았던 오매당 김만서의 묘갈명. 「오매당 김만서 묘갈명」은 조영하가 1882년에 지었다. 묘갈에는 “병판 오매당 김공만서 묘갈명(兵判寤寐堂金公晩緖墓碣銘)”이라 적혀 있다. 현재 비석은 남아 있지 않으며, 묘갈명의 내용은 1925년에 편찬한 『진안지(鎭安誌)』와 2004년에 편찬한 『진안군 향토 문화 백과사전』 부록에 실려 전하고...
-
전라북도 진안군 마이산의 아름다운 경치들을 읊은 이도복(李道復)의 창작 가사. 「이산구곡가(駬山九曲歌)」는 후산(厚山) 이도복(李道復)이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에 이산 정사를 낙성한 후에 이산 정사에서 주자의 「무이구곡가」, 고산의 「고산구곡가」를 전범으로 하여 진안 마이산을 둘러싼 구곡 팔경의 아름다운 승경을 음미하여 읊은 창작 가사이다. 후산(厚...
-
조선 전기 조위(曺偉)가 전라북도 진안군 마이산을 바라보고 지은 세 편의 시. 「진안마이산」의 저자 조위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창녕(昌寧)이다. 자는 태허(太虛), 호는 매계(梅溪), 시호는 문장(文莊)이다. 7세에 이미 시문을 지을 정도로 재주가 뛰어났다. 1474년(성종 5)에 식년문과에 급제한 후 사가독서에 첫 번째로 뽑히기도 하였다. 그는 박식하고 문장이...
-
전라북도 진안군 마이산을 바라보고 조선 전기 김종직(金宗直)이 지은 한시.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마이산을 읊은 시 「진안망마이산」은 김종직(金宗直)이 지은 것이다. 김종직[1431~1492]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효관(孝盥)·계온(季昷), 호는 점필재(佔畢齋)이다. 문장이 뛰어나 많은 시문과 일기를 남겼다. 저서로는 『점필재집』, 『청구풍아(靑丘風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