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학선리에 있었던 파주 자유 학교의 분교. 파주 자유 학교 진안 분교는 아이들이 자유롭고, 자립적이며, 자연스런 사람으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 설립되었다. 파주 자유 학교는 2002년 2월에 고양 자유 학교로 개교하였고, 2003년 8월 고양 자유 학교와 자연을 닮은 아이들의 자유 학교로 분리되었다. 2006년 3월 자연을 닮...
-
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 봉학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파주 염씨의 열녀비. 1938년에 강성관(姜成寬)의 처 파주 염씨(坡州廉氏)의 열행(烈行)을 기리면서 파주 염씨의 두 남매가 세운 비석이다. 파주 염씨는 어린 나이에 가난한 집으로 시집왔다. 서른살에 남편이 일본군과 싸우다 죽은 뒤 홀로 갖은 고생을 하며 남매를 키웠다고 알려져 있다. 원래 진안군 정천면 봉학리 신촌 동네...
-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학선리에 있었던 파주 자유 학교의 분교. 파주 자유 학교 진안 분교는 아이들이 자유롭고, 자립적이며, 자연스런 사람으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 설립되었다. 파주 자유 학교는 2002년 2월에 고양 자유 학교로 개교하였고, 2003년 8월 고양 자유 학교와 자연을 닮은 아이들의 자유 학교로 분리되었다. 2006년 3월 자연을 닮...
-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학선리에 있었던 파주 자유 학교의 분교. 파주 자유 학교 진안 분교는 아이들이 자유롭고, 자립적이며, 자연스런 사람으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 설립되었다. 파주 자유 학교는 2002년 2월에 고양 자유 학교로 개교하였고, 2003년 8월 고양 자유 학교와 자연을 닮은 아이들의 자유 학교로 분리되었다. 2006년 3월 자연을 닮...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덕천리와 부귀면 신정리를 연결하는 고개. 과거 마령 지역과 백운 지역에서 전주 지역을 갈 때 판치재를 이용하였다. 장승 삼거리에서 길에 합류해 곰치재나 적내재를 넘어 전주 지역으로 향했다. 판치재 앞뒤로 있는 판치 마을을 구분하기 위해 내판치 마을과 외판치 마을로 부른다. 덕천리에 있는 널재[판치] 마을에서 생성되었다. 널재는 뒷산이 널...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덕천리와 부귀면 신정리를 연결하는 고개. 과거 마령 지역과 백운 지역에서 전주 지역을 갈 때 판치재를 이용하였다. 장승 삼거리에서 길에 합류해 곰치재나 적내재를 넘어 전주 지역으로 향했다. 판치재 앞뒤로 있는 판치 마을을 구분하기 위해 내판치 마을과 외판치 마을로 부른다. 덕천리에 있는 널재[판치] 마을에서 생성되었다. 널재는 뒷산이 널...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신암리와 장수군 장수읍 대성리에 걸쳐 있는 산. 팔공산은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신암리와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대성리의 군 경계에 있는 1,148m의 산이다. 경위도 위치는 북위 35° 37′, 동경 127° 28′이다. 팔공산은 『신증동국여지승람』 장수현조에 “성수산 또는 성적산이라 하고 팔공암이 있어 팔공산이라고도 한다.”라고 기록...
-
전라북도 진안 지역에 있는 8곳의 풍수지리적 명당. 진안에는 8명당이라 하여 전통적으로 길지를 일컫는 말이 있다. 8명당은 노래재[부귀면 황금리 가치]·송대[진안읍 운산리 송대]·원반월[진안읍 반월리 원반월]·동창[백운면 동창리]·원강정[마령면 강정리]·평장[백운면 평장리]·좌산[성수면 좌산리]·좌포[성수면 좌포리]이다. 제1 명당은 가치 마을 뒷산에 옥녀봉이...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오천리에 있는 농촌 체험 교육 농장. 평강 팜스테이는 진안군 진안읍 오천리에 위치한 농장으로 약 23만 1405㎡의 임야를 개간하여 조성되었다. 농촌 체험 교육 농장으로 지정되면서 자연 체험장이자 농촌 교육의 현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평강 팜스테이는 김익수·김현순 부부가 1984년에 땅을 구입하고 27년간 황무지를 개간하여 자...
-
전라북도 진안 지역 주민들이 평상시에 입어 왔던 옷. 고려 시대 왕과 관리는 평상복으로 백저포(白紵袍)에 검은 건[鳥巾]을 썼고 조선 시대 왕은 상투관, 저고리, 바지, 답호, 철릭(帖裹), 두루마기 등을 입었다. 사대부의 평상복은 복건(幅巾), 방관(方冠), 정자관(程子冠), 동파관(東坡冠) 등을 취향에 따라 썼다. 신하들은 당건(唐巾)을 썼으며 외출 시에는 모두 갓을...
-
전라북도 진안군에서 행해지고 있는 정규 교육 과정을 제외한 모든 형태의 교육 활동. 전라북도 진안군은 2001년 국내 최초로 교육 인적 자원부로부터 평생 학습 도시로 선정되었다. 여성 교육·노인 교육·근로자 교육·문화 교육·청소년 교육 등을 진안 지역 내 모든 교육 자원과 연계함으로써 진안 지역 주민이 언제 어디서 원하는 학습을 즐길 수 있도록 지역 평생 학습...
-
전라북도 진안 지역에서 일생을 거치면서 인생의 중요한 단계마다 지내는 의례. 평생 의례는 사람이 이 세상에 태어나서 생활하다가 일생을 마칠 때까지 삶의 중요한 단계마다 치러야 하는 여러 가지 의식으로, 그 단계를 지낼 때마다 다양한 지위와 상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단계별 평생 의례의 종류로는 사람이 태어나기 전부터 그 부모들이 행하는 기자(祈子) 치성을 비롯한 출생 의...
-
전라북도 진안 지역에서 평탄한 지대가 펼쳐진 땅. 평야는 형성 원인에 따라 퇴적 평야와 구조 평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하천의 퇴적 작용만으로 형성된 평야를 퇴적 평야 또는 충적 평야라고 하는데, 진안 지역의 평야는 대부분 충적 평야이다. 진안군은 산악이 83%로서 구조 평야가 생길 여지가 적고, 골짜기 사이를 토사가 메운 좁은 들을 경작지로 이용하는 가운데 그나마 마...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에 있던 청소년 수련 시설. 평장 야영장은 청소년들의 호연지기를 육성하기 위해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에 조성하여 1994년부터 운영된 야영장으로 2013년 10월 폐장되었다. 평장 야영장은 호연지기가 있는 담대한 청소년을 육성하고, 가정 이외의 새로운 환경에 대한 대처 능력을 신장시키며, 협동과 질서 의식 함양을 통한 긍정적 자...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에 속하는 법정리. 고려 시대 평장사를 지낸 이거(李据)와 그의 증손인 이행전(李行典) 두 사람이 태어난 곳이라 하여 평장이라는 지명이 생겼다고 한다. 조선 말 진안군 일동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송림치(松林峙)·정천리(鼎川里)·가전리(佳田里)를 병합하여 평장리라 해서 백운면에 편입하였다. 서쪽 섬진강 상류 백마천 천변에서 북...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평장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무덤 떼. 평장리 송림 고인돌 떼는 진안군 백운면 평장리 송림 마을 인근에 있는 고인돌 떼이다. 고인돌의 형태는 방형 또는 부정형이며, 대부분 흙 속에 묻혀 있어 고임돌 및 하부 구조의 존재 여부는 알 수 없다. 평장리 송림 고인돌 떼 A는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평장리 278에 있고, 평장리 송림...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평장리 송림 마을에 거주하는 양재호가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 송림 마을 양재호가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는 백운면 평장리 송림 마을 어귀에 세워진 ‘남원 양씨 2효 1열비’[1892]의 주인공인 양원하, 양명수, 의성 정씨와 관련된 것으로 호구 단자, 혼서지류, 상서 등이다. 호구 단자는 사인이 관에 제출하는 것으로 4조와 부인, 그리고 딸...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평장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평장리 오암정 고인돌 떼는 백운면 평장 마을 진입로변의 밭에 7기의 고인돌이 열을 이루며 분포하고 있는 유적이다. 밭에 파묻혀 있고 수풀이 무성하여 7기 모두를 확인하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고인돌 떼의 열은 하천과 동일한 방향이다. 평장리 오암정 고인돌 떼는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평장리...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평장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평장리 오암정 고인돌 떼는 백운면 평장 마을 진입로변의 밭에 7기의 고인돌이 열을 이루며 분포하고 있는 유적이다. 밭에 파묻혀 있고 수풀이 무성하여 7기 모두를 확인하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고인돌 떼의 열은 하천과 동일한 방향이다. 평장리 오암정 고인돌 떼는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평장리...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평장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평장리 오암정 고인돌 떼는 백운면 평장 마을 진입로변의 밭에 7기의 고인돌이 열을 이루며 분포하고 있는 유적이다. 밭에 파묻혀 있고 수풀이 무성하여 7기 모두를 확인하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고인돌 떼의 열은 하천과 동일한 방향이다. 평장리 오암정 고인돌 떼는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평장리...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평장리에 있던 옹기 가마터. 백운면 평장리 정송 마을 옹기 요지는 생활 옹기를 굽던 가마터로서 마을 자체가 점촌으로 불리는 옹기 마을이다. 『세종실록(世宗實錄)』에 마령현 동쪽 동림의 도기소와 남쪽 두원리의 자기소에 대한 기록이 있다. 동림의 도기소는 동림대라는 산봉우리가 있는 현재 백운면 평장리 정송 마을로 추정된다. 찰흙과...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평장리에 살고 있는 정상렴이 소장한 고문서. 평장리 정상렴 소장 고문서는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 이서면[성수면] 좌우개리 등지에 거주하였던 동래 정씨 호적 문서이다. 호구 단자란 호주(戶主)가 각 개인의 호구 상황을 작성하여 관청에 제출하는 문서로 오늘의 호적 신고서이다. 조선 시대에는 매 3년마다 호적을 작성했는데, 호주는 자신의 가족...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평장리 하평장 마을에서 돌탑에 지내는 마을 제의. 돌탑은 주당산으로 모셔지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하위 당산으로 모셔진다. 즉 마을에 산신제나 당산제를 모신 이후에 탑제를 지낸다. 진안에서 돌탑이 주당산으로 모셔지는 경우는 정천면 월평리 하초 마을, 정천면 월평리 원월평 마을, 주천면 용덕리 미적 마을, 상전면 수동리 내송 마을, 진안읍 단...
-
진안 이산묘 영모사에 배향된 조선 후기 의병. 이산묘에 배향된 것은 후손들이 진안 지방에 세거(世居)하며, 이산묘 창건 당시부터 공이 있었기 때문이다.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평중(平仲), 호는 남계(南溪). 증조할아버지는 이조 판서를 지낸 원계검(元繼儉)이고 할아버지는 승지를 지낸 원호영(元虎英)이고 아버지는 충의공(忠毅公) 원성모(元成模)이다. 부인은...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계서리·강정리 일대에 형성된 들판. 마령들은 마령뜰, 평지들이라고도 한다.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계서리·강장리 일대의 섬진강 상류인 제룡강 유역에 펼쳐진 약 4㎢ 넓이의 들판이며, 현지 주민들은 보통 평지들이라 부른다. 마령들은 제룡강이 흘러 수리의 이점이 좋기 때문에 대부분 논으로 개간되었고, 일부는 마을 대지로 사용된다....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에 속하는 법정리. 평지를 이루는 넓은 분지에 있어 평지리라고 했다고 한다. 조선 시대 말 진안군 마령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석교리(石橋里)·사곡리(沙谷里)·송내리(松內里)를 병합하여 평지리를 만들어 마령면에 편입하였다. 평지리는 이름 그대로 농경지가 산지보다 많은 군내 유일한 지역이다. 섬진강 상류 지역으로 강 주변...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에 있는 고분 유적. 평지리 고분 떼는 진안군 마령면에서 고분군이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2개 지역에 대한 발굴 조사 결과 확인된 고분 떼이다. 1개소에서는 고인돌과 돌덧널무덤이 각각 1기씩 조사되었으며, 다른 1개소에서는 구덩식 돌덧널무덤 6기가 조사되었다. 평지리 고분 떼는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산3에...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군 평지리에서 화재를 막거나 복을 기원하기 위하여 조성된 거북. 거북은 십장생(十長生) 중의 하나로 장수(長壽)를 상징하고 오행(五行)으로는 물에 해당된다. 그래서 거북은 장수와 부의 의미뿐만 아니라 물의 신(神)이란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불의 재앙을 쫓는 수신(水神)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평지리 송내 돌거북은 본래는 자연석을 조각하여 만...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에서 있던 근대 옹기 가마터. 평지리 원평지 옹기 요지는 나매기들이라고도 하는 마령 평야를 앞에 두고 위치한다. 이 나매기들에는 옹기의 몸을 이루는 질흙이 광활하게 매장되어 있다. 조선 신분 사회에서 신분상 하대했던 옹기점을 바로 마령현 소재지였던 원평지 마을 가까이 두지는 않았을 것이기 때문에 신분 사회가 흐트러지기 시...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에 있는 삼국 시대에서 조선 시대의 유물 산포지. 평지리 유물 산포지는 원평지 마을 남악제 북쪽으로 뻗어 있는 높이 320m가량의 구릉 지대에 자리하고 있다. 주변에는 섬진강을 끼고 발달한 충적 평야가 펼쳐져 있다. 2007년 전주 대학교 박물관에서 『문화 유적 분포 지도』 제작을 위한 지표 조사 통해 유물 산포지를 확인하였다. 유...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평지 토성. 평지리 토성은 진안군 마령면 소재지의 동쪽 송내 마을에 있는 평지 토성으로 송내 토성(松內土城)으로도 불린다. 토성은 주변의 비고 차가 13m 정도로 낮은 동산에 있으며, 평면 형태는 동벽이 짧고 서벽은 길며, 남벽과 북벽의 길이가 비슷한 방형이다. 성벽은 외면이 급경사를 이루고 안쪽은 완만한...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반월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포강제는 진안군 진안읍 농업용수의 주수원이 되는 저수지로서 반월리 일원에 농업 용수를 원활하게 공급하며 농업 생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건립되었다. 1942년 1월 1일에 착공하여 1945년 10월 1일에 흙댐으로 준공되었으며, 진상 지구에 관개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유역 면적은 28㏊, 만수 면적은 1...
-
전라북도 진안군에서 재배되는 송이과에 속하는 버섯. 표고버섯은 담자균류 주름 버섯목 느타리과의 식용 버섯으로 봄·여름·가을에 걸쳐 참나무·밤나무·서어나무 등 활엽수에 발생한다. 원목을 이용한 인공 재배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버섯 중에서 으뜸가는 상품의 하나이다. 팽이갓은 3~6㎝로 어두운 다갈색 또는 흑갈색이며 육질이 질기고, 건조시켜 저장하는데 이때 표고버섯...
-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두남리에 있는 표고버섯 체험 농장. 마이산 햇살드림 대표 김영삼은 귀향하여 부모님이 하던 표고 버섯 농사를 이어 받아 1995년에 표고버섯 농장을 열었다. 유통 구조 개선을 위해 1995년 전자 상거래를 통해 표고버섯 등 농산물 판매를 시작하였다. 2008년 14억 2000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 그 후 인터넷 블로그, 카페, 홈페이지...
-
음양오행설을 기초로 전라북도 진안 지역의 땅에 관한 이치를 설명하는 이론. 풍수지리 사상은 전통적인 지리학으로서 우리 민족의 자연관이 잘 나타나 있는 경험 과학이다. 음양론(陰陽論)과 오행설(五行說)을 기반으로 주역의 체계를 주요한 논리 구조로 삼으며, 추길피흉(追吉避凶)을 목적으로 하는 상지 기술학(相地技術學)이다. 전통 시대에 효(孝)의 관념(觀念)이나 샤머니즘과 결합되어 이기...
-
전라북도 진안군 성수면 좌포리에 있는 풍혈(風穴)과 냉천(冷泉). 풍혈 냉천은 진안군 성수면에 있는 동굴과 냉천을 이른다. 풍혈은 성수면 좌포리 양화 마을 뒷산인 대두산 기슭에 뚫려 있는 약 70㎡의 동굴로, 한 여름에도 찬바람이 스며 나와 동굴 안을 섭씨 6°C 정도로 유지해주고 있다. 예전에는 잠종 보관소로 이용되었고, 지금도 자연 냉장고로 이용되고 있다....
-
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 갈용리 갈거리 계곡에 서식하는 마편초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 누리장나무는 운장산 휴양림을 구성하는 갈거리 계곡에서 30여 종의 야생화 및 소나무·빗살나무·아그배나무 등과 함께 자생하고 있는 마편초과에 속하는 수종이다. 누리장나무는 피나무[전라도]·구린내나무[강원도]·누룬나무[경상도]·이아리나무[황해도] 등으로 불리며, 그 외에도 지방에 따라...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에 있는 피바위에 관하여 전해오는 전설.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에 전해오는 「피바위 전설」은 부유하게 살던 홍씨들이 시주승을 박대한 대가로 용머리 명당을 잃고 망했다는 내용이다. 더 잘살려고 욕심을 낸 홍씨들이 용머리 자리에 있는 바위를 끊고 마을 안 물길을 바꾼 후로 마을이 망하고 바위에서는 핏물이 나왔다고 한다. 이 바위를 피바위...
-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두남리 삼봉리와 진안읍 운산리에 걸쳐 있는 산봉우리.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두남리 삼봉리 동쪽에 있는 봉우리로 높이는 652m이다. 진안읍 운산리와 경계를 이룬다. 시루봉은 먼 곳에서 보면 붓처럼 생겼고, 가까이서 보면 시루같이 생겼다는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고 전한다. 그래서 문필봉 혹은 필봉으로도 불린다. 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