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연장리 제2 농공 단지에 있는 복분자 과실주 생산 업체. 문남기 대표는 2004년 독립적인 주류 회사 설립을 목적으로 진안군에 정착하여 주류 생산을 시작하였다. 복분 제국은 2004년에 마이산 복분자 주조로 창업하였다. 대표 상품은 ‘복분 제국’이다. 2005년 9월에 복분자주를 첫 출시하였는데, 이를 계기로 상호를 복분 제국으로 바꾸었...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에서 부녀자들이 산나물을 채취하면서 부르던 노동요. 산악 지대가 많은 진안군에서 부녀자들이 고사리 같은 산나물을 채취하면서 노동의 고단함과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부르던 「고사리 노래」는 산촌형 민요이다. 일명 「고사리 타령」이라고도 한다. 「고사리 노래」는 한국학 중앙 연구원 어문 생활 연구소와 안동 대학교 민속학 연구소가 공동으로...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오천리에서 전해오는 구렁이와 사람의 혼인 이야기. 진안군 진안읍 오천리에서 전해오는 「구렁덩덩 신선비」는 구렁이에게 시집간 딸이 구렁이에서 미남자로 변신한 신랑과 잘 살았다는 내용의 이야기이다. 「구렁덩덩 새선비」, 「구렁덩덩 서선비」, 「구렁덩덩 신선부」라고도 한다. 「구렁덩덩 신선비」는 2003년 진안 문화원에서 간행한 『...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오천리에서 전해오는 구렁이와 사람의 혼인 이야기. 진안군 진안읍 오천리에서 전해오는 「구렁덩덩 신선비」는 구렁이에게 시집간 딸이 구렁이에서 미남자로 변신한 신랑과 잘 살았다는 내용의 이야기이다. 「구렁덩덩 새선비」, 「구렁덩덩 서선비」, 「구렁덩덩 신선부」라고도 한다. 「구렁덩덩 신선비」는 2003년 진안 문화원에서 간행한 『...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오천리에서 전해오는 구렁이와 사람의 혼인 이야기. 진안군 진안읍 오천리에서 전해오는 「구렁덩덩 신선비」는 구렁이에게 시집간 딸이 구렁이에서 미남자로 변신한 신랑과 잘 살았다는 내용의 이야기이다. 「구렁덩덩 새선비」, 「구렁덩덩 서선비」, 「구렁덩덩 신선부」라고도 한다. 「구렁덩덩 신선비」는 2003년 진안 문화원에서 간행한 『...
-
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 월평리에서 논 맬 때 부르던 노동요. 진안군 월평리 주민들은 논 맬 때 ‘상사 소리’와 ‘매화 타령’을 불렀다. 「논매기 상사 소리」는 중중모리 장단으로 되어 있으며, 2~4 장단을 메기면 “어여 여여루 상사뒤여” 하고 일제히 받았다. 「논매기 매화 타령」 역시 중중모리 장단이며, 뒷소리는 “어여 어여루 매화로구나”이다. 「논...
-
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 월평리에서 논 맬 때 부르던 노동요. 진안군 월평리 주민들은 논 맬 때 ‘상사 소리’와 ‘매화 타령’을 불렀다. 「논매기 상사 소리」는 중중모리 장단으로 되어 있으며, 2~4 장단을 메기면 “어여 여여루 상사뒤여” 하고 일제히 받았다. 「논매기 매화 타령」 역시 중중모리 장단이며, 뒷소리는 “어여 어여루 매화로구나”이다. 「논...
-
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 월평리에서 논 맬 때 부르던 노동요. 진안군 월평리 주민들은 논 맬 때 ‘상사 소리’와 ‘매화 타령’을 불렀다. 「논매기 상사 소리」는 중중모리 장단으로 되어 있으며, 2~4 장단을 메기면 “어여 여여루 상사뒤여” 하고 일제히 받았다. 「논매기 매화 타령」 역시 중중모리 장단이며, 뒷소리는 “어여 어여루 매화로구나”이다. 「논...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원평지 마을에서 김매기 할 때 부르는 민요. 「늦은 방개 타령」은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원평지 마을에서 김매기 할 때 「양산도」에 이어서 부르는 논농사 민요이다. 김매는 소리 특유의 ‘숨을 다하는 소리’로 부름으로써 한가하면서도 유장한 가락의 맛을 지니고 있다. 원평지 마을의 김매기는 원칙적으로 두벌까지 매고, 세벌은 두레라고 해...
-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대량리에서 목화를 따면서 부르는 남녀 애정요. 진안군 동향면 대량리에서 전승되는 「명 따는 노래」는 부녀자들이 목화를 따면서 단조로운 노동의 지루함과 고단함을 달래기 위해서 부르는 노동요이다. 이 노래는 목화를 따는 일뿐만 아니라 모심기나 밭매기 등 일하는 사람의 정서를 표출하기에 적합한 노동 상황에서도 부를 수 있고 나아가 부녀자들이...
-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봉암리 지역에서 모내기할 때 부르던 노동요. 진안의 「모심는 소리」는 대부분 장절(章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소리꾼이 장단을 메기면 일꾼들이 받는 형식을 띠고 있다. 선소리꾼의 장단은 자유자재로 표현되지만, 받는 형식은 노래의 후렴처럼 동일한 양상을 보인다. 「모심는 소리」는 진안군 여러 지역에서 채록되었다. 국립 문...
-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봉암리 지역에서 모내기할 때 부르던 노동요. 진안의 「모심는 소리」는 대부분 장절(章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소리꾼이 장단을 메기면 일꾼들이 받는 형식을 띠고 있다. 선소리꾼의 장단은 자유자재로 표현되지만, 받는 형식은 노래의 후렴처럼 동일한 양상을 보인다. 「모심는 소리」는 진안군 여러 지역에서 채록되었다. 국립 문...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운교리에서 무거운 나무나 돌덩이를 힘을 모아 옮길 때 부르는 노동요. 진안군 백운면 운교리에서 전해오는 「목도질 소리」는 벌목한 나무를 여럿이 힘을 모아 옮기거나 토목·건축 현장에서 무거운 돌이나 목재를 나를 때 부른다. 노래의 사설은 여럿이 호흡을 맞추기 위해서 내는 의미 없는 소리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목도 소리」 또...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운교리에서 무거운 나무나 돌덩이를 힘을 모아 옮길 때 부르는 노동요. 진안군 백운면 운교리에서 전해오는 「목도질 소리」는 벌목한 나무를 여럿이 힘을 모아 옮기거나 토목·건축 현장에서 무거운 돌이나 목재를 나를 때 부른다. 노래의 사설은 여럿이 호흡을 맞추기 위해서 내는 의미 없는 소리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목도 소리」 또...
-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대량리에서 목화를 따면서 부르는 남녀 애정요. 진안군 동향면 대량리에서 전승되는 「명 따는 노래」는 부녀자들이 목화를 따면서 단조로운 노동의 지루함과 고단함을 달래기 위해서 부르는 노동요이다. 이 노래는 목화를 따는 일뿐만 아니라 모심기나 밭매기 등 일하는 사람의 정서를 표출하기에 적합한 노동 상황에서도 부를 수 있고 나아가 부녀자들이...
-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거석리에서 부녀자들이 물레질을 하면서 부르는 길쌈 노동요. 「물레 노래」는 부녀자들이 목화나 누에고치에서 실을 뽑기 위해 물레를 천천히 반복적으로 돌리면서 부르는 길쌈 노동요이다. 「물레 노래」는 한국학 중앙 연구원 어문 생활 연구소와 안동 대학교 민속학 연구소가 공동으로 추진한 ‘한국 구비 문학 대계 개정·증보 사업’ 전북...
-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거석리에서 부녀자들이 물레질을 하면서 부르는 길쌈 노동요. 「물레 노래」는 부녀자들이 목화나 누에고치에서 실을 뽑기 위해 물레를 천천히 반복적으로 돌리면서 부르는 길쌈 노동요이다. 「물레 노래」는 한국학 중앙 연구원 어문 생활 연구소와 안동 대학교 민속학 연구소가 공동으로 추진한 ‘한국 구비 문학 대계 개정·증보 사업’ 전북...
-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 용덕리에 전해지는 쌀 나오는 바위에 관한 이야기. 진안군 주천면 용덕리에 전해오는 「용덕리 쌀바위 전설」은 절의 주지승이 쌀이 나오는 바위에 대한 호기심과 많은 쌀을 빨리 얻으려는 욕심에 쌀 나오는 구멍을 뚫으려다 오히려 바위 구멍 속으로 빨려 들어갔다는 내용이다. 인간의 호기심과 허욕을 경계한 이 이야기는 전국에 광포하고 있다....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원평지 마을에서 김매기 할 때 부르는 민요. 「늦은 방개 타령」은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원평지 마을에서 김매기 할 때 「양산도」에 이어서 부르는 논농사 민요이다. 김매는 소리 특유의 ‘숨을 다하는 소리’로 부름으로써 한가하면서도 유장한 가락의 맛을 지니고 있다. 원평지 마을의 김매기는 원칙적으로 두벌까지 매고, 세벌은 두레라고 해...
-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자산리에 전해오는 벙어리 행세를 한 며느리의 시집살이 이야기. 진안군 동향면 자산리에서 전해오는 「벙어리로 오해 받은 며느리」 이야기는 친정 부모의 가르침대로 시집에서 말을 하지 않던 며느리가 진짜 벙어리로 오해를 받아 친정으로 쫓겨 가는 길에 꿩을 보고 말을 해서 다시 시집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는 내용이다. 「벙어리로 오해 받은 며느리...
-
전라북도 진안군에서 부녀자들이 베를 짜면서 부르던 노동요. 베 짜는 일은 주로 부녀자들이 담당했던 노동이기 때문에 「베틀가」에는 여성의 생활상과 의식 세계가 잘 반영되어 있다. 전국에 분포되어 있으며 「베틀 노래」 또는 「베 짜는 소리」라고도 한다. 「베틀가」는 한국학 중앙 연구원 어문 생활 연구소와 안동 대학교 민속학 연구소가 공동으로 추진한 ‘한국 구비 문...
-
전라북도 진안군에서 부녀자들이 베를 짜면서 부르던 노동요. 베 짜는 일은 주로 부녀자들이 담당했던 노동이기 때문에 「베틀가」에는 여성의 생활상과 의식 세계가 잘 반영되어 있다. 전국에 분포되어 있으며 「베틀 노래」 또는 「베 짜는 소리」라고도 한다. 「베틀가」는 한국학 중앙 연구원 어문 생활 연구소와 안동 대학교 민속학 연구소가 공동으로 추진한 ‘한국 구비 문...
-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대량리 창녕 성씨 종중 소장의 성석린 좌명공신 왕지. 고려 시대 말과 조선 시대 초기 문신이었던 성석린(成石璘)에게 내려진 왕지(王旨)로 1983년 5월 7일 보물 제746호로 지정되었다. 성석린(成石璘)[1338~1423]은 1357년(공민왕 6) 과거에 급제, 국자학유(國子學諭)의 벼슬을 받고 승진하여 사관(史官), 이어 예문관(藝文...
-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봉암리에서 부녀자들이 자기 신세나 처지에 대해 푸념조로 부르는 가창 유희요. 진안군에서 전승되는 「신세타령」은 부녀자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느끼는 답답함이나 살아온 삶에 대한 회한을 푸념조로 노래하는 가창 유희요이다. 정해진 노랫말이 있다기보다 개인적 경험에서 나온 노랫말을 즉흥적으로 지어 부르는 경향이 있다. 「신세타령」은 한...
-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거석리에서 부녀자들이 물레질을 하면서 부르는 길쌈 노동요. 「물레 노래」는 부녀자들이 목화나 누에고치에서 실을 뽑기 위해 물레를 천천히 반복적으로 돌리면서 부르는 길쌈 노동요이다. 「물레 노래」는 한국학 중앙 연구원 어문 생활 연구소와 안동 대학교 민속학 연구소가 공동으로 추진한 ‘한국 구비 문학 대계 개정·증보 사업’ 전북...
-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 용덕리에 전해지는 쌀 나오는 바위에 관한 이야기. 진안군 주천면 용덕리에 전해오는 「용덕리 쌀바위 전설」은 절의 주지승이 쌀이 나오는 바위에 대한 호기심과 많은 쌀을 빨리 얻으려는 욕심에 쌀 나오는 구멍을 뚫으려다 오히려 바위 구멍 속으로 빨려 들어갔다는 내용이다. 인간의 호기심과 허욕을 경계한 이 이야기는 전국에 광포하고 있다....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동창리 지역에서 아기를 재우거나 어르면서 여인들이 부른 부녀요. 아기를 어르면서 부른 「아기 어르는 소리」는 진안군 각 지역에서 구전되고 있다. 그 양상은 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가사가 “서울 가서 밤 한 톨 주서다가/ 살강 밑에 묻었더니/ 새앙쥐가 다 까먹고”라는 내용이다. 구전되는 과정에서 일부만 살아남고, 나머지는 구연자의 창작성에...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동창리 지역에서 아기를 재우거나 어르면서 여인들이 부른 부녀요. 아기를 어르면서 부른 「아기 어르는 소리」는 진안군 각 지역에서 구전되고 있다. 그 양상은 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가사가 “서울 가서 밤 한 톨 주서다가/ 살강 밑에 묻었더니/ 새앙쥐가 다 까먹고”라는 내용이다. 구전되는 과정에서 일부만 살아남고, 나머지는 구연자의 창작성에...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동창리에서 엿장수가 엿을 팔면서 부르던 노래. 「엿타령」은 엿장수들이 엿을 팔면서 엿을 선전하고 손님을 끌어 모으기 위해서 가위 소리에 맞추어 불렀다. 일반 사람들이 엿장수들의 노래를 장터 등에서 듣고 배워서 즐겨 부르면서 「엿타령」은 점차 가창 유희요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엿타령」은 한국학 중앙 연구원 어문 생활 연구소와...
-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자산리에서 이를 해학적으로 표현한 유희요. 「이타령」은 사람의 몸에 기생하면서 피를 빨아먹는 작은 벌레인 이의 생김새를 익살스럽게 그려낸 노래이다. 이를 잡으면서 부르기도 했고 노래 부르기 자체를 목적으로 하여 가창 유희요로 부르기도 했다. 아이들이나 부녀자들이 주로 가창하였다. 「이타령」은 한국학 중앙 연구원 어문 생활 연구...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덕현리에서 전승되고 있는 유희요. 진안군 백운면에서 전승되는 「각설이 타령」은 각설이패가 장이나 길거리에서 동냥을 다닐 때 부르던 노래이다. 일명 「장타령」이라고도 한다. 「각설이 타령」은 한국학 중앙 연구원 어문 생활 연구소와 안동 대학교 민속학 연구소가 공동으로 추진한 ‘한국 구비 문학 대계 개정·증보 사업’ 전북 조사팀이...
-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대량리에서 주머니를 소재로 하여 전해지는 유희요. 「줌치 노래」는 허리춤에 차고 다니는 주머니를 소재로 하여 전반부에서는 세 자매가 아름다운 주머니를 만드는 과정을 묘사하고, 후반부에서는 사또에게 주머니를 선보이며 값을 흥정하는 내용을 표현하였다. 부녀자들이 단순하고 반복적인 노동을 할 때나 여럿이 어울려 놀 때 불렀다. 「줌...
-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대량리에서 주머니를 소재로 하여 전해지는 유희요. 「줌치 노래」는 허리춤에 차고 다니는 주머니를 소재로 하여 전반부에서는 세 자매가 아름다운 주머니를 만드는 과정을 묘사하고, 후반부에서는 사또에게 주머니를 선보이며 값을 흥정하는 내용을 표현하였다. 부녀자들이 단순하고 반복적인 노동을 할 때나 여럿이 어울려 놀 때 불렀다. 「줌...
-
전라북도 진안군의 1903년 당시 신호적으로 일본 교토 대학 종합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호적표. 「진안현 신호적」은 1903년(광무 7) 1월에 작성된 진안군의 두미면·남면·일서면·이서면·일북면·상도면의 호적표를 묶어놓은 것으로, 현재 일본 교토 대학 종합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조선 시대에는 3년마다 호적을 작성하여 대장에 편성하였는데, 이를 ‘구식 호적...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동창리에서 시집살이를 주제로 하여 전해 오는 부녀요. 진안군 백운면에서 전승되는 「진주 낭군」은 고된 시집살이를 하던 아내가 남편이 첩을 집으로 데려온 것을 보고 자결하자 남편이 후회한다는 내용의 서사 민요이다. 일명 「진주 난봉가」 또는 「진주 낭군가」라고도 한다. 「진주 낭군」은 한국학 중앙 연구원 어문 생활 연구소와 안동...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동창리에서 시집살이를 주제로 하여 전해 오는 부녀요. 진안군 백운면에서 전승되는 「진주 낭군」은 고된 시집살이를 하던 아내가 남편이 첩을 집으로 데려온 것을 보고 자결하자 남편이 후회한다는 내용의 서사 민요이다. 일명 「진주 난봉가」 또는 「진주 낭군가」라고도 한다. 「진주 낭군」은 한국학 중앙 연구원 어문 생활 연구소와 안동...
-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황금리에 전승되는 천자문의 글과 뜻을 풀어 꾸민 언어 유희요. 조선 시대 한문 초학자를 위한 교본인 『천자문(千字文)』의 글과 뜻을 풀어 꾸민 노래로 어려운 한자 공부를 재미있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일명 「천자 풀이」라고도 한다. 한글의 음소를 외우기 위해 불렀던 한글 풀이 노래와 같은 맥락에서 전승되었다. 「천자 뒤풀이」는 한국학...
-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자산리에서 본처가 첩을 원망하며 부르던 서사 민요. 진안군 동향면 자산리의 「첩 노래」는 본처가 첩의 집에 갔다가 오히려 살림의 반을 달라고 요구하는 첩의 말을 듣고 집으로 돌아와 한탄하는 내용을 담은 노래이다. 시집살이 노래 종류 중에서 본처와 첩의 갈등을 직접 다루고 있다. 부녀자들이 오랜 시간 지루한 노동을 반복해야 하는 삼 삼기나...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운산리에 있는 칼바위의 유래에 관해 전해오는 이이야기. 진안군 진안읍 운산리에 전해오는 「칼바위 전설」 이야기는 진안 운산리에 살던 백정이 시주 받으러 온 도승을 박대했는데 칼바위를 깨트리면 더 잘살 수 있다는 도승의 말을 믿고 칼바위를 부쉈다가 집안이 망했다는 내용이다. 「칼바위 전설」은 2003년 진안 문화원에서 간행한 『...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평장리 송림 마을에 거주하는 양재호가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 송림 마을 양재호가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는 백운면 평장리 송림 마을 어귀에 세워진 ‘남원 양씨 2효 1열비’[1892]의 주인공인 양원하, 양명수, 의성 정씨와 관련된 것으로 호구 단자, 혼서지류, 상서 등이다. 호구 단자는 사인이 관에 제출하는 것으로 4조와 부인, 그리고 딸...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에서 화투를 소재로 하여 부르는 유희요. 「화투 노래」는 정월부터 섣달까지 있는 화투의 열두 패에 인생의 희로애락을 비유하여 부르는 노래이다. 화투의 열두 달 그림을 월마다 해학적으로 풀이한 달거리 형식을 띠고 있다. 「화투 노래」는 화투 놀이를 하면서 부르기도 했고, 화투를 이용해 운세를 보는 화투 점을 치면서 부르거나 여럿이 또...
-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황금리에서 전해지는 환갑잔치를 소재로 한 유희요. 진안군 부귀면 황금리의 「환갑 노래」는 환갑잔치 때 환갑을 맞은 주인공이 가족과 축하객들 앞에서 기쁨을 표현하며 부르는 가창 유희요이다. 「환갑 노래」는 한국학 중앙 연구원 어문 생활 연구소와 안동 대학교 민속학 연구소가 공동으로 추진한 ‘한국 구비 문학 대계 개정·증보 사업’...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출신의 최제학(崔濟學)의 문집. 최제학(崔濟學)은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에 활동하였던 유학자이자 독립 운동가로서, 자는 중열(仲悅)이고 호는 습재(習齋)이다. 최제학은 1882년 3월 17일 진안에서 태어나 1961년 5월 15일에 죽었다. 1906년에 최익현의 의병진의 간부로서 의병을 모집하고 군비를 편성하는 등의 활약을 하였다. 일본군...
-
전라북도 진안군 성수면 좌포리에 살았던 이도복(李道復)의 글을 엮은 책. 『후산집(厚山集)』의 표제는 『후산시고(厚山詩稿)』로 되어 있고, 2권 1책이다. 권1은 이도복의 시들을 모아 엮은 것이고 권2는 이도복이 주고받은 편지, 서(書)를 모아서 엮은 것이다. 이도복은 1862년에 경상남도 산청군 신안면에서 태어나 1938년에 죽었다. 남명의 학문을...
-
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 봉학리에 있는 어린이 환경성 질환 예방·관리 센터. 진안군 정천면 봉학리에 있는 진안 에코 에듀 센터는 아토피 계몽을 통한 생활 환경 개선과 생태 순환적인 삶으로 자연환경을 살리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고 있다. 환경 보건법 및 환경 정책 기본법에 의거하여 환경부에서 유해 환경 인자로 인한 환경성 질환 예방·관리를 목적으로 지방 자치...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중앙회 산하 진안군 지부. 1961년 8월 15일「농업 협동조합법」[법률 670호, 1961년 7월 29일 제정]에 의해 개별 회원 농업 협동조합의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고 회원 조합의 공동 이익 증진과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농업 협동조합 중앙회가 설립되었다. 이후 1999년 3월 발표된 협동조합 개혁 방안에 따라 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