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 출신의 유학자 이병항 이 지은 문집. 전북 진안군 정천면 출신의 유학자이며 교육자인 이병항(李秉恒) 이 1939년에 필사 편집한 문집으로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 5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은(靜隱) 이병항(李秉恒) [1862~1946]이 자...
... 현상에 그 토대를 두고 형성되거나 구전되어온 말이다. 따라서 길조어나 금기어는 우리 민족의 경험이 수반된 속신(俗信)이자 생활 방편이라고 할 수 있다. 진안군 정천면 하초 마을 입구에는 거북 바위가 있다. 그런데 이 바위를 놓고 옆 마을과 항상 시비가 끊이지 않았다. 왜냐하면 ‘거북이 꼬리가 마을로 향하면 재복이 들어온다.'라는 속신 때...
...록 도와주었다. 「상여 소리」 는 진안군 여러 지역에서 채록되었다. 국립 문화재 연구소 에서 1982년에 발간한 『전라북도 국악 실태 조사』 에는 정천면 월평리 주민 장길동 [남]과 안천면 중리 주민 황재두 [남]로부터 채록한 「상여 소리」 가 수록되어 있다. 1992년에 진안 군지 편찬 위원회 에서 발간한...
...민요는 민중의 애환이 깃든 구전 노래로써, 전문적인 지식 없이도 쉽게 부르고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진안 지역의 민요는 성수면 과 마령면 등의 남부 민요와 정천면 과 안천면 등의 북부 민요로 나뉜다. 남부 민요는 전라북도 임실군 과 비슷하고 육자배기 토리 형식을 띠며, 북부 민요는 전라북도 무주군 과 비슷하면서 경상도 ...
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 월평리 부녀자들이 길쌈할 때 부르던 노동요. 삼을 삼는 것은 삼베를 만드는 과정 중 하나이다. 대마를 베어 잎을 따내고 대궁만 드럼통 등에...인들의 애환이 담긴 노래라고 할 수 있다. 국립 문화재 연구소 에서 정천면 월평리 주민 장길동 [남]으로부터 채록하여 1982년에 발간한 『전라북도 국악...
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 월평리 에서 논 맬 때 부르던 노동요. 진안군 월평리 주민들은 논 맬 때 ‘상사 소리'와 ‘매화 타령'을 불렀다. 「논매... 국립 문화재 연구소 에서 1982년에 발간한 『전라북도 국악 실태 조사』 에는 정천면 월평리 주민 장길동 [남]으로부터 채록한 「논매는 소리」 가 수록되어 있다....
...상을 보인다. 「모심는 소리」 는 진안군 여러 지역에서 채록되었다. 국립 문화재 연구소 에서 1982년에 발간한 『전라북도 국악 실태 조사』 에는 정천면 월평리 주민 장길동 [남]으로부터 채록한 「모심는 소리」 가 수록되어 있다. 1992년에 진안 군지 편찬 위원회 에서 발간한 『진안 군지』 에는 성수면 중평...
...할 수 있다. 「밭매는 소리」 는 진안군 여러 지역에서 채록되었다. 국립 문화재 연구소 에서 1982년에 발간한 『전라북도 국악 실태 조사』 에는 정천면 월평리 주민 장길동 [남]과 정천면 갈용리 주민 손정진 [남]으로부터 채록한 「밭매는 소리」 가 수록되어 있다. 1992년에 진안 군지 편찬 위원회 에서 발간한 『진안 군지』 에는 성수면 중평...
...그런데 「신언충 이야기」 또는 「역적 신언충」 설화는 내용상으로 볼 때 ‘옛날 정천면 모정리 망덕 에 신언충 이 살았다.' 또는 ‘ 황산리 의 용마 혈', ‘ ...말을 몰겠다고 위협하였다. 결국 신언충 은 암굴에서 나와 죽임을 당하였다. 지금도 정천면 여의실 앞에는 쌓다만 성이 남아 있고, 정천면 모정리 앞에는 말을 몰고 가다 쉬...
... 이야기는 진안군 진안읍 군상리 에서 1970년에 채록된 것이다. 내용상 진안군 정천면 에 소재한 ‘ 신현충 굴 '과 ‘ 신장군 묘 '라는 구체적 증거물을 제시하고... 때문에 정보의 구체성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신장군과 용마혈」 은 ‘ 진안군 정천면 모정리 망덕 에 산 신현충 '이라거나 ‘ 용담교 서쪽에 있는 층암절벽의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