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801622 |
---|---|
한자 | 馬耳山告天祭 |
이칭/별칭 | 창의 고천제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이상훈 |
발생|시작 시기/일시 | 1907년 9월 12일 - 마이산 고천제 시행 |
---|---|
발생|시작 장소 | 마이산 용암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 마이산![]() |
전라북도 진안군 마이산 용암에서 이석용 의병장이 호남 창의 동맹단을 결성하고 하늘에 지낸 제사.
마이산 고천제는 1907년 9월 12일 이석용 의병장이 임실, 진안, 곡성, 함양, 순창, 장수, 남원 등지에서 의병들을 진안 마이산으로 집결시켜 창의 고천제(告天祭)를 거행한 것이다.
마이산 아래 용암(龍巖) 위에 제단을 쌓고 그 위에 ‘호남 의병 창의 동맹단(湖南義兵倡義同盟團)’이라고 크게 써 붙였다. 동서남북 네 곳에는 ‘정기단심가공조(正氣丹心歌共照) 죽교자시열동성(竹橋紫市烈同聲)’[정의의 기상 일편단심 노래는 선죽교의 절개와 문천상(文天祥)이 순절한 시시(紫市)와 함께 메아리친다]이라는 글씨를 쓴 깃발을 달았으며, 머리에는 ‘의병 창의(義兵倡義)’라고 쓴 띠를 매도록 하였다.
500여 의병이 모였는데 성원하기 위해 모인 민중을 합하면 총 1,000여 명이 되었다. 고천제가 끝난 후 모인 군중이 만장일치로 이석용 의병장을 의병 대장으로 추대하였다. 이석용은 단상에 올라 하늘에 고하는 동맹뇌사(同盟酹辭)를 다음과 같이 낭독하였다. “우리의 지극한 정성을 다하여 하늘에 아룁니다. 우리의 의병 동맹은 한 몸이 되어 순국(殉國)함으로써 나라와 가정을 만세토록 보전할 것입니다. 충성함은 공(公)이며 효도는 사(私)인즉 만약 두 마음을 품었다면 하늘이 벌주소서.”라고 하였다. 이어서 의병이 지켜야 할 규칙으로 의진 약속 15개 조항과 의령(義令) 10개조를 선포하였다.
이렇게 호남 의진(湖南義陣)이 결성되었는데 편성과 부장 명단은 다음과 같았다. 의병 대장 이석용(李錫庸), 선봉 박만화(朴萬華)·최덕일(崔德逸)·송판구(宋判九), 중군 여주목(呂柱穆)·박운서(朴雲瑞)·김성학(金成學), 후군 김사범(金士範)·윤명선(尹明善)·전성학(全成鶴), 참모 전해산(全海山)·한사국(韓士國)·이광삼(李光三), 총 지휘 박갑쇠(朴甲釗)·곽자의(郭子儀)·임종문(林宗文), 연락 홍윤무(洪允武)·박성무(朴成武)·윤병준(尹炳俊), 도로 부장 김사원(金士元)·김공실(金公實)·김성율(金成慄), 보급 한규정(韓圭井)·박금동(朴金東)·박보국(朴甫局), 운량 오기열(吳琦烈)·조영국(趙榮國)·김학문(金學文) 등이다.
당시 진안 출신의 참가 의병은 김사범(金士範)·김성학(金成學)·김암우(金岩宇)·김운서(金雲瑞)·박금동(朴金東)·박보국(朴甫局)·박학수(朴學水)·서성일(徐聖一)·신성운(申成雲)·오기열(吳琦烈)·임영기(任永基)·임종문(林宗文)·전성학(全成鶴)·정종엽(鄭鍾燁)·한사국(韓士國)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