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95년부터 1914년까지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 , 용담면 , 정천면 , 안천면 , 동향면 지역에 설치되었던 지방 행정 구역. 용담군 은 1... 일동면 , 이동면 , 일서면 , 이서면 등의 9개 면을 두었다. 오늘날 주천면 [5개 리], 용담면 [5개 리], 정천면 [6개 리], 안천면 [3개 ...
-
일제 강점기 진안군 주천면 에 화양 도원 을 건립한 학자. 일찍이 궁내부(宮內府) 판임관(判任官)을 지냈으나, 1910년 일본 의 강탈로 나라가 망하자 벼슬을 버리고 진안 으로 내려와 진안군 주천면 대불리 에 화양 도원(華陽道院) 을 열고 후진 양성에 힘을 기울였다. 1922년 이후에는 전국의 7개소에 황단(皇壇)을 설치하여 삼극제(...
-
...313년까지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 · 동향면 · 안천면 · 정천면 · 주천면 일부 지역에 설치된 지방 행정 구역. 청거현(淸渠縣) 은 기록의 ... 진안군 의 일부를 이루는 용담면 · 동향면 · 안천면 · 정천면 · 주천면 에 해당하는 지역의 통일 신라 시대의 지명이 청거현 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
-
... 진안 에서 활동한 문신. 병자호란 이후 관직에서 은퇴하고 진안군 주천면 주양리 에 은거하며 후학을 양성하였다. 본관은 광산(光山) . 자는 자삼(子...다. 묘는 진안군 용담면 호계리 대방동 에 있으며, 대사헌 박성양 이 비문을 쓴 묘비가 있다. 1924년 진안군 주천면 주양리 에 있는 주천 서원 에 배향되었다.
-
...767년까지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 , 동향면 , 안천면 , 정천면 , 주천면 일부 지역에 설치된 지방 행정 구역. 물거현(勿居縣) 은 기록의 ... 진안군 의 일부를 이루는 용담면 · 동향면 · 안천면 · 정천면 · 주천면 에 해당하는 지역의 백제 시대 지명이 물거현 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뿐이다....
-
개항기 진안 출신의 의병. 김치삼(金致三) [1872~1909]은 진안군 주천면 에 태어났다. 1907년 9월에 거병한 유지명(柳志明) 이 이끄는 삼남 의병대에 가담하여 약 2년 동안 용담 · 금산 · 은진 등지를 잠행하면서 유격 활동을 벌였다. 1907년 10월 3일 밤, 의진 30여 명이 심상의 · 노원섭 ...
-
개항기 진안 출신의 의병. 박순용(朴順用) [?~?]은 진안군 주천면 에서 태어났다. 재판 기록에 의하면 박순용 은 1907년 7월 14일부터 문태수 의진에 가담하여 여러 곳에서 유격 활동을 벌였으며 8월에는 금산읍 을 습격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가입과 활동한 날짜로 미루어 보아 유지명 의병대에 들어가서 의병 활동을...
-
개항기 진안 출신의 의병. 정성일(丁成一) [?~1909]은 진안군 주천면 신양리 에서 태어났다. 1907년 9월 초순경에 창의 기병한 유지명 의 삼남 의병대에 가담하여 약 2년 동안 용담 , 고산 , 금산 , 은진 등지를 무대로 의병 활동을 하였다. 특히 1907년 의진 30여 명이 심상의 · 노원섭 의 ...
-
...규현(金奎鉉) [1879~1950]은 진안군 에서 태어났다. 1919년 4월부터 주천면 의 청년 김영필(金永弼) 등이 『대한민보』 와 『독립신문』 등 독립운동 ... 등지에 배포하면서 독립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였다. 1920년 1월 김영필 은 주천면 경찰 주재소 에 검속되었고, 모진 고문을 당하며 증인 심문을 받게 되었다. 그때 ...
-
현대 진안 출신의 군인. 안도열(安道烈) [1925~1971]은 본관은 죽산(竹山) 이고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 주양리 에서 태어났다. 8·15 해방 후에 육군에 입대하여 6·25 전쟁 때 전공을 세우고, 그해 12월 소위로 임관하였다. 이어 국방 대학교 를 졸업하고 3사단 부관부, 5군단, 육군 본부 등에 관리 장교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