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67년부터 1313년까지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 · 동향면 · 안천면 · 정천면 · 주천면 일부 지역에 설치된 지방 행정 구역. 청거현(淸渠縣)...확인하기 어렵다. 다만 남아 있는 기록을 토대로 오늘날의 진안군 의 일부를 이루는 용담면 · 동향면 · 안천면 · 정천면 · 주천면 에 해당하는 지역의 통일 ...
-
1895년부터 1914년까지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 , 용담면 , 정천면 , 안천면 , 동향면 지역에 설치되었던 지방 행정 구역. 용담군 은 1..., 일서면 , 이서면 등의 9개 면을 두었다. 오늘날 주천면 [5개 리], 용담면 [5개 리], 정천면 [6개 리], 안천면 [3개 리], 동향면 [6개 ...
-
삼국 시대부터 767년까지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 , 동향면 , 안천면 , 정천면 , 주천면 일부 지역에 설치된 지방 행정 구역. 물거현(勿居縣)... 어렵다. 다만 남아 있는 기록을 토대로 살펴보면 오늘날 진안군 의 일부를 이루는 용담면 · 동향면 · 안천면 · 정천면 · 주천면 에 해당하는 지역의 백제 ...
-
개항기 진안 출신의 의병. 박경실(朴景實) [?~?]은 진안군 용담면 에서 태어났다. 1908년 창의하여 동지 박경삼 외 수 명과 함께 약 2년 동안 용담 과 금산 등지에서 의병 활동과 함께 군자금 확보에 주력하였다. 1909년 3월 7일 정오 12시경 박경삼 과 함께 전라북도 용담군 이서면 어자리 송구재(...
-
...0; 전석봉(全錫奉) [1919~?]은 진안군 마령면 연장리 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장구의 매력에 끌려 마을 굿판에 뛰어 들었으며, 본격적인 기능 습득은 24세 때 용담면 최상근 문하에서 익혔다. 1949년 전국 농악 경연대회 전라북도 대표단 수장구로 선발되어 출전하였고 전라북도 대표단이 1위로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이후 부산 ...
-
... 『응재집(凝齋集)』 권1에 실린 「달계역도중(達溪驛途中)」 이라는 시에 등장한다. 달계역 은 금산 과 진안 을 연결하는 역으로, 지금의 진안군 용담면 월계리 에 있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에서는 달계 의 북쪽에 있다고 기록하였으며, 1790년 이후에 편찬된 『용담현 읍지』 에서는 읍치의 동쪽 5리 지점에 위치...
-
...권회복을 위해 일제와 항쟁하였다. 이와 같이 국가가 존망의 기로에 서자 김옥현 은 일제를 이 땅에서 몰아내기 위해 진안 에서 창의하여 동지 7명을 이끌고 진안군 , 용담면 , 장수군 등 산간 지역에서 의병 활동을 하였다. 1907년 12월 전라북도 장수군 천천면 에서 동료 의병 6명과 함께 군수금품 모집 활동을 하던 중 일본군 장수 ...
-
... 지역이었음을 알 수 있다. 2001년에 댐이 완공되면서 과거 용담현 이었던 곳 일대는 경관이 수려한 호수로 변모했다. 용담현 은 현재의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 · 동향면 · 안천면 · 정천면 · 주천면 지역에 해당하며 백제 시대의 물거현(勿居縣) 에서 비롯되었다. 물거현 은 767년(경덕왕 16)에 청거현(...
-
... 과거에 여러 번 응시하였으나 실패하자 천명을 잃은 것이라고 포기하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1667년(현종 8) 현령 홍석(洪錫) , 한정유(韓挺愈) 와 함께 진안군 용담면 황산리 에 삼천 서원(三川書院) 을 창건하여 안자(顔子) , 주자(朱子) , 정자(程子) 등 3부자(三夫子)를 향사하고 후학을 교육하였다. 삼천 서원 은 ...
-
...로는 『긍구당 유고(肯構堂遺稿)』 가 있다. 『긍구당 유고』 는 김상현(金尙鉉) 의 서와 9대손 김태현(金泰鉉) 의 발을 붙여 목활자본 1책으로 1899년에 간행되었다. 묘는 진안군 용담면 호계리 대방동 에 있으며, 대사헌 박성양 이 비문을 쓴 묘비가 있다. 1924년 진안군 주천면 주양리 에 있는 주천 서원 에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