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800590 |
---|---|
한자 | 白岩里白雲洞- |
이칭/별칭 | 백암리 백운동 고인돌군,백암리 백운동 지석묘군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백암리 99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이은정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6년 - 백암리 백운동 고인돌 떼 전주 대학교 박물관에서 지표 조사 실시 |
---|---|
소재지 | 백암리 백운동고인돌 떼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백암리 99
![]() |
성격 | 고인돌 떼 |
크기(높이, 지름) | 길이 730㎝, 너비 470㎝, 두께 220㎝[백암리 백운동 고인돌 1호]|길이 500㎝, 너비 200㎝, 두께 150㎝[백암리 백운동 고인돌 2호]|길이 780㎝, 너비 560㎝, 두께 130㎝[백암리 백운동 고인돌 3호]|길이 320㎝, 너비 210㎝, 두께 90㎝[백암리 백운동 고인돌 4호]|길이 210㎝, 너비 120㎝, 두께 95㎝[백암리 백운동 고인돌 5호]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백암리 백운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떼.
백암리 백운동 고인돌 떼는 10여 기의 고인돌이 군집을 이룬 고인돌 떼이다. 형태는 부정형이며 모두 대형에 속한다. 장축은 하천과 동일한 동-서 방향이다. 주변 밭을 개간하면서 대부분 이동된 것으로 여겨지며 하부 구조 등은 확인되지 않았다.
백암리 백운동 고인돌 떼는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백암리 99에 있다. 백운 삼거리에서 백운동로를 따라 3㎞ 정도 가면 백암리 백운동 마을이 있다. 마을 입구의 버스 정류장 도로변과 민가 일대에 고인돌이 무리를 이루어 자리하고 있다.
2006년 전주 대학교 박물관에서 『문화 유적 분포 지도』 제작을 위한 지표 조사를 실시하면서 처음으로 고인돌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지표 조사에서 유물은 수습되지 않았다.
고인돌의 평면 형태는 대부분 부정형을 띠며 장축은 하천이 흐르는 방향과 동일한 북서-남동 방향이다. 민가 주변의 고인돌들은 상당수가 밭을 개간하면서 옮겨진 것으로 판단된다. 고인돌의 크기는 상태가 양호한 5기를 선별하여 측정하였고, 모두 대형에 속한다. 1호는 길이 730㎝, 너비 470㎝, 두께 220㎝, 2호는 길이 500㎝, 너비 200㎝, 두께 150㎝, 3호는 길이 780㎝, 너비 560㎝, 두께 130㎝, 4호는 길이 320㎝, 너비 210㎝, 두께 90㎝, 5호는 길이 210㎝, 너비 120㎝, 두께 95㎝의 크기이다. 고인돌들은 대부분 땅 속에 파묻혀 있고 주변에 수풀이 우거져 있어, 정확한 규모 및 하부 구조 등은 확인이 불가능하다.
고인돌은 민가와 민가 주변 밭, 도로변에 위치한다. 민가의 주변에는 과수원이 자리하는데, 과수원으로 개간하면서 상당수의 고인돌이 민가 주변으로 이동된 것으로 판단된다. 도로변에 자리하고 있어 훼손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이며, 훼손을 막기 위한 보호 시설이 필요하다.
진안 지역의 청동기 시대 무덤의 양상을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며, 더 이상의 훼손이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보존 조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