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군상리 우화산 에 있는 누정. 우화정 은 진안군 진안읍 월랑산(月浪山) 남쪽 기슭에 위치하고 있는데 기암절벽과 아래의 천이 어우러져 경관이 매우 수려하다. 진안 에서 월랑 팔경(月浪八景)의 하나로 일컬어진다. 우화정 에서 바라보면 월랑 팔경으로 불리는 마이산 , 강령 ...
-
...20; 전성권(全聖權) [?~?]은 일찍부터 의롭지 못한 일에는 의기가 솟구치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고 용기와 지략도 매우 뛰어났다. 진안 에서는 1919년 3월 25일 진안읍 장날을 기해 수 백 명이 모여 만세 운동을 벌였고, 4월 3일에는 주천면 , 4월 6일에는 마령면 , 4월 12일에는 성수면 , 4월 13일에는 다시 마령면 ...
-
...x20; 이갑룡 은 1920년대 초에 초가 암자를 지어 돌 미륵불을 안치하고 불공을 드리기 시작하였으며 1935년에 목조 함석 지붕의 인법당과 산신각을 지어 부처님을 모셨다. 98세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정성과 기도로 시종일관하였다고 한다. 저술로는 『신서』 30여 권이 있다. 묘는 진안군 진안읍 단양리 마이산 봉두봉 에 있다.
-
... 구씨 집성촌은 진안군 동향면 능길 , 동향면 용암 , 마령면 오동리 , 진안읍 구룡리 이다. 안동 권씨 집성촌은 진안군 동향면 성산리 , 마령면 서비산 ... 주천면 용덕리 , 진안읍 가림리 , 진안읍 물곡리 , 진안읍 반월리 , 진안읍 반월리 , 진안읍 오천리 , 진안읍 원상도치 , 진안읍 저동 에 주로 거...
-
...국 으로 가기 직전에 이석용 이 군량과 자금 지원을 약속했던 정동석 의 고발로 체포됨으로써 실패로 돌아갔다. 진안 지역에서는 1919년 3월 25일 진안읍 의 장날에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오전부터 수백 명이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며 대열을 이루어 행진을 하자 장꾼들도 여기에 합세하였다. 4월 3일에는 주천면 주양리 에서...
-
...작된 소몰이 투쟁은 전국 20여 개 군으로 확산되었고 진안 지역에서도 1천여 명의 농민들이 대규모 투쟁을 전개하였다. 소와 경운기를 직접 몰고 나온 진안 지역 농민들은 진안읍 강경골재 에서 경찰과 대치하며 진안 ~ 무주 국도를 4시간 이상 점거하기도 했다. 소몰이 투쟁은 가톨릭 농민회를 중심으로 조직되었지만 점차 농민 대중 투쟁으로...
-
...어난 항일 독립 만세 운동. 진안 지역의 만세 운동은 3월 25일의 진안읍 장날부터 시작되었고 이후 주천면 · 마령면 · 성수면 등으로 이어졌다. ...통을 작성하여 마령면 평지리 에 부착하는 등 만세 운동을 계획하였다. 3월 25일 진안읍 의 장날에 만세 운동이 일어났는데 오전에 수백 명이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며 대열을...
-
...백운면 [1927년]· 부귀면 [1928년]· 동향면 [1930년] 등에도 각각 공립 보통학교가 설립되었고, 이외에도 부녀자를 위한 야학이 개설되었다. 진안읍 의 장날이었던 1919년 3월 25일 오전에 수백 명이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며 행진하자 장꾼들도 여기에 합세하였다. 주천면 주양리 에서는 유지 김주한 등이 만세 운...
-
...진안 · 무주 · 장수 등지에서 활동하였다. 3·1 운동 시기에는 진안 에서도 1919년 3월 25일부터 4월 13일까지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진안읍 에서는 3월 25일 장날에 수 백 명이 모여 만세 시위를 벌였고, 4월 3일에는 진안군 추천면 주양리 에서 김주한(金周漢) 의 주도로, 학생 양해관(梁海寬) 등이...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죽산리 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오천 초등학교 는 어린이들이 21세기를 주도적으로 이끌 수 있도록 ‘품성이 바른 어린이', ‘실력이 있는 어린이', ‘건강한 어린이', ‘감성이 풍부한 어린이', ‘창의적인 어린이'로 기른다는 경영관을 가지고 있다. 학생상으로는 된 사람·든 사람·난 사람을 목표로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