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801814 |
---|---|
한자 | -金-銀-」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덕천리 |
집필자 | 김성식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2003년 10월 15일 - 「금도끼 은도끼」 채록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3년 - 「금도끼 은도끼」 『진안 지방의 구전 설화집』에 수록 |
채록지 | 안방 마을 -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덕천리 |
성격 | 전래 동화 |
주요 등장 인물 | 나무꾼|산신령 |
[정의]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에서 채록된 나무꾼이 도끼를 연못에 빠뜨렸으나 신령님의 도움으로 금도끼와 은도끼까지 다 얻었다는 이야기.
[개설]
「금도끼 은도끼」 이야기는 설화 분류상 민담에 속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전래 동화라고 부른다. 이솝우화에 수록된 고대 그리스 전래동화로, 우리나라에는 개항기 교과서에 실리면서 소개된 후 헤르메스가 산신령으로 변모하는 등 한국적 토착화 과정을 거치면서 정착되었다. 나무꾼이 도끼를 들고 산에서 나무를 하다가 도끼를 연못에 빠뜨렸다. 도끼를 건지려고 노력하였으나 건지지 못하자 신령님이 도끼를 꺼내서 보여주었고, 자기 도끼를 정직하게 말하자 금도끼와 은도끼까지 다 주었다는 이야기이다.
[채록/수집 상황]
「금도끼 은도끼」 이야기는 2003년 10월 15일에 진안군 마령면 덕천리 안방 마을에서 황인덕이 주민 백옥순[여, 78세]으로부터 채록하여 『진안 지방의 구전 설화집』[진안 문화원, 2003]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진안군 부귀면 오산리가 친정인데 그곳에서 소학교를 다니다가 집안 형편이 어려워 중퇴했다고 한다. 일제 강점기에는 소학교 교과서에도 한문이 흔치 않게 나와서 언문뿐만 아니라 한문도 익혔다고 한다. 이 이야기도 일제 강점기 때 책에 나온 이야기라고 하면서 구연하였다.
[내용]
산에 나무를 하던 나무꾼이 그만 실수로 도끼를 연못에 빠뜨렸다. 아무리 도끼를 건지려고 해도 건지지 못하였다. 낙심하고 있던 차에 신령님이 나타나서 “이 금도끼가 니 도끼냐?”고 물었다. 그러자 나무꾼은 “아닙니다.”라고 대답하였다. 다시 신령님이 “이 은도끼가 니 도끼냐?”라고 물었지만 나무꾼은 다시 “아닙니다.”라고 답하고는 “제 도끼는 쇠도끼입니다.”라고 말하였다. 그러자 신령님은 “마음씨가 옳다”고 하면서 도끼 세 개를 모두 나무꾼에게 주었다는 이야기이다.
[모티프 분석]
「금도끼 은도끼」 이야기는 민담이면서 전래 동화이다. 전래 동화가 항상 그렇듯이 모티브가 동원되고 화소의 분석이나 해석이 수반되는 차원이라기보다, 이야기가 담고 있는 주제의 교훈성을 직접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의식이 훨씬 강하다. 따라서 이 이야기는 해석을 요하는 상징적 모티브 장치는 없고,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나 「왕자님의 신부님」 같이 사람은 정직해야 한다는 교훈을 전달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둔 동화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