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자 김용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801802
한자 -孝子-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수항리
집필자 김월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2009년 12월 24일 - 「효자 김용담」 채록
관련 지명 심연재 -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황금리 지도보기
채록지 수항리 -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수항리 지도보기
성격 효행담|변신 실패담
주요 등장 인물 김용담|김용담 아내|김용담 어머니
모티프 유형 어머니의 병을 고치려고 호랑이로 둔갑한 효자|사람으로 변신 실패

[정의]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수항리에서 전해오는 호랑이로 둔갑한 남자에 관한 이야기.

[개설]

진안군 부귀면 수항리에서 전해오는 「효자 김용담」 이야기는 진안의 김용담이 어머니의 병을 고치려고 주문 책을 외워 호랑이로 둔갑하였다가 아내가 주문 책을 태우는 바람에 사람으로 되돌아오지 못하고 호랑이로 살면서 여자들을 잡아먹었다는 내용이다.

[채록/수집 상황]

「효자 김용담」은 한국학 중앙 연구원 어문 생활 연구소와 안동 대학교 민속학 연구소가 공동으로 추진한 ‘한국 구비 문학 대계 개정·증보 사업’ 전북 조사팀이 2009년 12월 24일 진안군 부귀면 수항리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조낙주[남, 84세]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한국학 중앙 연구원에서 지원하는 한국 구비 문학 대계 웹 서비스에 「호랑이가 된 김용담」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으며, 조사 자료 텍스트와 연동되는 디지털 음원을 들을 수 있다.

[내용]

진안에 사는 김용담이라는 사람의 어머니가 병이 들었다. 어머니가 황구(黃狗) 수십 마리를 먹어야 낫는다는 소문을 듣고, 아들 김용담은 산속에 들어가 산신제를 올리고 기도를 드렸다. 기도 후에 한 권의 책을 받았는데, 그 책에는 사람이 호랑이로 둔갑할 수 있는 주문이 실려 있었다. 김용담이 물동이에다 물을 떠다 놓고 짚을 열십자로 깔고 산신제를 지내고 기도를 하면서 그 책의 주문을 외웠다. 그러자 김용담이 호랑이로 둔갑을 할 수 있게 되었고, 호랑이로 변신한 김용담이 황구를 잡아다가 어머니께 약을 해 드렸다.

항시 김용담의 부인이 어머니께 개를 약으로 해드렸는데, 남편이 밤에 나갔다 오면 개 비린내가 나는 것을 수상히 여겨 남편 뒤를 밟았다. 남편이 주문 책을 읽고 호랑이로 둔갑하여 밖으로 나가는 것을 몰래 엿보고 깜작 놀란 부인은 책을 없애 버리면 남편이 호랑이로 변하는 일이 없을 거라고 생각하여 그 책을 불태워 버렸다. 그러나 사람으로 돌아올 수 있는 주문 책을 부인이 불에 태우는 바람에 김용담은 사람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호랑이가 되어 버렸다.

호랑이가 된 김용담은 하루 이틀 지나 배가 고프니 개나 사람을 잡아먹기 시작했는데 자기가 젊은 여자 때문에 사람으로 변신을 못하게 된 것이라고 여자를 원망하면서 젊은 여자를 잡아먹기 시작했다. 젊은 여자들이 자꾸 호랑이에게 잡혀가 살 수가 없게 되니까 진안 관아에서 이런 사실을 알고 용담 범을 잡으라는 사냥 명령을 내렸다.

사냥꾼들이 김용담 호랑이를 잡으러 갔지만 호랑이가 너무 크고 무서워서 포수들도 감히 총을 쏘지 못했다. 그런데 윗마을에 호랑이 이서방이라는 사람이 대창을 만들어서 호랑이를 찌르자 호랑이가 일어나면서 진안군 부귀면 황금리에서 정천 넘어가는 심연재로 넘어갔으나 결국 심연재에서 잡혔다. 김용담은 그렇게 어머니에 대한 효성을 제대로 이루지도 못하고 호랑이가 되어 죽었다.

[모티프 분석]

「효자 김용담」의 주요 모티프는 ‘어머니의 병을 고치려고 호랑이로 둔갑한 효자’와 ‘사람으로 변신 실패’이다. 효를 실천하기 위해 사람이 호랑이로 둔갑한 이야기는 전국적으로 전해진다. 김용담은 어머니의 병을 고치려고 호랑이로 둔갑해서 개를 잡아다 어머니께 약을 해 드리지만 남편의 호랑이 변신에 깜짝 놀라서 주문 책을 태워버린 아내 때문에 다시 인간으로 변신하지 못한다. 호랑이로 변한 김용담은 주문 책을 태운 아내 때문에 여성을 원망하며 살생하다가 사냥꾼에게 잡혀 죽게 된다. 「효자 김용담」의 비극적인 결말에서는 주인공의 호랑이 둔갑이 인간 세계에 미칠 영향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전승 의식을 엿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