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 이산묘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800853
한자 -大韓駬山廟誌-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전라북도 진안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순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98년연표보기 - 『대한 이산묘지』간행
간행처 진안 문화원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중앙로 66[군하리 81-11]지도보기
성격 단행본|번역서
번역자 이명래
간행자 진안 문화원

[정의]

1998년 진안 문화원에서 발간한 한문본 『대한 이산묘지』의 한글 번역서.

[개설]

『대한 이산묘지』의 편찬 경위는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지 않다. 다만 「이산묘지창통문(駬山廟誌創通文)」을 보면 을사년(1965) 춘향(春享) 때 첨의(僉議)가 제발(齊發)하여 편집하여 인쇄하기로 하였고, 「이산묘지발(駬山廟誌跋)」에 의하면 전중권(全中權)과 송승환(宋升煥)이 간행하는 데 가장 수고를 하였다고 한다.

한편 김순동이 쓴 「이산묘지서(駬山廟誌序)」에는 ‘묘지가 완성된 후 전중권(全中權)과 송승환(宋升煥)이 나에게 서문을 부탁했다.’는 말이 나오는데 서문은 1966년 3월 하순에 지어졌다. 이로 볼 때 『대한 이산묘지』는 1966년에 발행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한문본 『대한 이산묘지』를 국사 편찬 위원회 전문 위원인 이명래이 한글로 번역하였고, 1998년 진안 문화원에서 『대한 이산묘지』 한글 번역본을 발행하기에 이르렀다.

[편찬/간행 경위]

이명래가 번역한 것을 1998년 12월에 진안 문화원에서 한일 인쇄사를 통하여 발간하였다.

[서지/형태]

단행본 1책이며 290쪽으로 삽도 26㎝이다.

[구성/내용]

『대한 이산묘지』는 1책 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1권에는 이산묘 연혁과 사적 및 건립, 영모사 제현 사적(永慕祠諸賢事蹟), 영광사 제현 사적(永光祠諸賢事蹟)에 관련된 내용이 서술되어 있고 2권에는 이산묘와 관련된 통문과 시문, 제명록(題名錄), 계원 명록, 계서(契序), 방명록, 재산 명록 등이 수록되어 있다.

『대한 이산묘지』에 의하면, 1924년 여름 진안 지역 선비들은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을 기리기 위한 친친계(親親契)와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을 기리기 위한 현현계(賢賢契)를 합치기로 하였다. 또한 조선 태조마이산에 왔던 사실과 연재, 면암이 머물렀던 곳이니 현인을 존경하지 않을 수 없다는 의견이 대두되자 기념 사업회를 하기로 뜻을 모으고 기금을 모았다.

1925년 3월에 이산 정사를 건축하였는데 모두 4칸으로 서쪽은 인지재(仁知齋), 동쪽은 여택헌(麗澤軒)을 지었다. 또 한 채는 정사의 뒤에 짓고 고경각(高景閣)이라고 하였는데 건물 전체를 이산 정사라 칭하였고 정사 뒤에는 집 한 채를 더 지어 회덕전(懷德殿)이라 하였다.

8·15 해방 이듬해인 1946년에 광주와 나주를 비롯한 향교의 의견을 좇아서 회덕전에는 단군태조, 세종을 제향하였다. 회덕전 아래는 동서에 사우를 지어서 ‘영모사(永慕祠)’라 이름하고 조선의 명유 40위를 제향하고 서쪽엔 ‘영광사(永光祠)’’라 하여 1905년 이후에 순국한 선열 34인을 제향하였다.

그 밖에도 『대한 이산묘지』는 회덕전, 영모사, 영광사의 진설 방법(陳設方法), 이산묘의 중건 경과와 상량문, 역대의 임원, 회덕 계원과 봉찬 회원, 마이동천에 새겨진 이름, 이산묘 소유 재산 목록 등을 수록하였다. 끝으로 「이산묘지서」, 「회덕전 상향 축문」, 「영모사 상향 축문」, 「영광사 상향 축문」, 「마이산기」, 「이산구곡가」, 「이산 묘지 발문」 등을 수록하여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산묘와 관련이 있는 역사적 사실을 한글로 번역한 유일한 서적이다. 이를 통하여 이산묘의 연혁, 의의 및 중요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