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국 시대와 고려 후기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 부귀면 · 상전면 일부 지역에 설치된 지방 행정 구역. 월량현(月浪縣) 은 기록의 미비로 백제 가... 가 이 지역을 장악한 이후 지방 제도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오늘날의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과 부귀면 및 상전면 지역에 해당하는 구역에 대한 행정 명칭으로 월량현 ...
-
...성산리 · 마령면 평지리 · 백운면 평장리 · 부귀면 신정리 · 안천면 삼락리 · 용담면 송풍리 · 주천면 신양리 에서 옹기 요지가 분포한다. 와요지는 진안읍 단양리 · 부귀면 궁항리 · 용담면 와룡리 · 월계리 · 정천면 갈용리 · 모정리 · 주천면 용덕리 에 분포하며, 탄요는 부귀면 황금리 , 삼가마는...
-
.... 이 외에도 최양 의 후손인 최경수(崔京洙) 가 1929년에 임실 에서 진안읍 가림리 로, 최양 의 후손인 진사 최형기(崔亨祺) 가 1807년(순조 7)에... 완산 에서 마령면 월운리 로 이거하여 살았다. 전주 최씨 는 진안읍 가림리 , 마령면 월운리 · 평지리 , 백운면 반송리 등지에 세거하고 있...
-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전라도 진안현 의 통치를 담당한 지방관. 현감이란 수령(守令)으로 총칭된 지방관의 하나이다. 통일 신라 시대에는 현의 규모에 관계없이 지방관은 모두 현령(縣令)이라 불렀다. 하지만 고려 시대에 이르러 큰 현에는 영(令)이, 작은 현에는 7품의 감무(監務)를 두게 된다. 이러한 전통은 조선 초기까지 계속되다가 모두 현감으로 고치...
-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전라도 용담현 의 통치를 담당하였던 지방관. 용담 현령 은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용담현 의 통치를 담당하였던 수령을 가리킨다. 용담현 의 수령은 원래 현령이었으나 1646년(인조 24)에 현감으로 격하되었다. 1656년(효종 7)에 다시 현령으로 회복되었다가, 용담현 이 진안군 으로 편입되면서...
-
... 데 온전한 유적만큼이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 동향면 , 마령면 , 백운면 , 부귀면 , 상전면 , 성수면...면으로, 2007년까지 이들 읍면에는 175곳의 유물 산포지가 존재한다고 보고되었다. 진안읍 에 22곳, 동향면 에 22곳, 마령면 에 10곳, 백운면 에 9곳, ...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운산리 에 있는 고려 시대의 절터. 절터는 진안군 진안읍 운산리 내후사 마을 에 자리하고 있다. 마을 입구에 있는 운산리 삼층 석탑 에서 마을길인 내후사길 을 따라 들어가면 후사 마을 회관 뒤쪽으로 길이 이어진다. 마을 회관에서 내후사길 을 따라 350m 정도 가면 시멘트 길이 끊기는 지점에 양쪽으...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운산리 에 있는 고려 시대 석탑. 운산리삼층석탑 은 내후사(內後寺) 마을 오른쪽 산 날망에 있다. ‘내후사'라는 마을 ...이 사찰에 서 있는 탑으로, 2층 기단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이다. 진안읍 에서 지방도 795호선 을 타고 4km 정도 가면 사거리 좌측에 ‘운산리 3층 ...
-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황금리 에 있는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의 유물 산포지. 진안군 진안읍 에서 부귀 교차로 를 통해 지방도 49호선 을 따라 부귀면 소재지로 들어오면 부귀 초등학교 가 있는 거석리 를 지나게 된다. 거석리 를 지나 약 4㎞ 지점에서 회신동 마을 과 두남 마을 에 다다르게 된...
-
전라북도 진안군 상전면 구룡리 에 있는 고려 시대 및 조선 시대의 유물 산포지. 구룡리 유물 산포지 는 진안읍 에서 국도 30호선 을 따라 상전면 월포리 를 거치게 되고 월포 휴게소 와 월포 대교 를 지나 대략 2㎞ 가다 보면 용담호 쪽으로 세동리 가 있다. 구룡리 유물 산포지 A 는 세동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