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거 용담현 이었던 곳 일대는 경관이 수려한 호수로 변모했다. 용담현 은 현재의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 · 동향면 · 안천면 · 정천면 · 주천면 지역에 해당하며 백제 시대의 물거현(勿居縣) 에서 비롯되었다. 물거현 은 767년(경덕왕 16)에 청거현(淸渠縣) 으로 이름이 바뀌어 진례군(進禮郡) [지금의...
-
... 2개소, 백운면 에 6개소, 부귀면 에 15개소, 상전면 에 1개소, 성수면 에 7개소, 안천면 에 3개소, 용담면 에 4개소, 정천면 에 6개소, 주천면 에 24개소이며 주로 부귀면 과 주천면 일대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진안군 성수면 도통리 일대는 한반도 초기 청자 발생과 ...
-
... 부귀면 , 상전면 , 성수면 , 안천면 , 용담면 , 정천면 , 주천면 에 있다. 그러나 지표면에서 발견되지 않는 경우도 상당수 존재하기 때문에 앞으로 더...면 에 12곳, 안천면 에 22곳, 용담면 에 5곳, 정천면 에 10곳, 주천면 에 17곳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최근까지의 조사 성과를 고려하면 약 200...
-
...로 재지정되었다. 최근에 이건되었기 때문에 건물의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그리고 향교와 대성전 앞에 문화재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봄·가을에 동향면 , 안천면 , 주천면 , 용담면 유림들이 중심이 되어 봄과 가을에 석전을 봉행하고 있다. 용담향교대성전 은 고려 때 창건하여 여러 번의 중수와 이건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
-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 용덕리 에 있는 삼국 시대 및 조선 시대의 유물 산포지. 용덕리 대촌 마을 에는 두곳의 유물 산포지가 있다. A는 진안군 주천면 용덕리 대촌 마을 경로당 에서 용덕 저수지 쪽으로 330m가량 떨어진 곳에 자리하고 있다. B는 대촌 유물 산포지 A 에서 동남쪽으로 60m가량 떨어진 곳...
-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 용덕리 에 있는 고대 및 조선 시대의 유물 산포지. 용덕리 유물 산포지3[A] 는 전북 진안군 주천면 용덕리 산제 마을 회관 에서 북쪽으로 100m가량 떨어진 경작지에 자리하고 있다. 이곳은 마을 북쪽에 자리한 야산의 하단부에 해당하므로 북고·남저의 지형을 이룬다. 용덕리 ...
-
...야가 형성되어 있다. 아직까지 초기 청자 요지의 존재가 발견되지 않고 있지만, 진안군 주천면 일대에 조선 후기의 백자 요지가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금남 호남 정맥 의 ... 수가 100여 개소에 달한다. 이 무렵 진안고원 의 금강 유역에 속한 진안군 주천면 일대가 새로운 도자 문화의 중심지로 급부상하였다. 진안고원 에서 생산된 조선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