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국 시대와 고려 후기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 부귀면 · 상전면 일부 지역에 설치된 지방 행정 구역. 월량현(月浪縣) 은 기록의 미비로 백제 가... 가 이 지역을 장악한 이후 지방 제도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오늘날의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과 부귀면 및 상전면 지역에 해당하는 구역에 대한 행정 명칭으로 월량현 ...
-
... . 호는 진명(眞明) . 전영균(全瑩均) [?~?]은 진안군 진안읍 군상리 중앙동 에서 태어났다. 이후 진안군 의 부군수(部郡守) 급 직위로 근무하... 1910년에 일제가 우리나라를 강제로 병탄하려는 낌새가 엿보이자 이에 반대하여 당시 진안읍 군상리 우화동 남쪽에 있는 우화산(羽化山) 에 주둔하며 활동을 하던 의병들과 물...
-
...된 조선 후기 의병. 이산묘 에 배향된 것은 후손들이 진안 지방에 세거(世居)하며, 이산묘 창건 당시부터 공이 있었기 때문이다. 전대승 이 진안군 진안읍 가림리 은천 마을 에 내려와 정착하게 되면서부터 은천 마을 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본관은 천안(天安) . 자는 휘원(輝遠) , 호는 이산(駬山) . 문평공...
-
조선 시대 진안현 의 남쪽에 설치·운영되었던 교통·통신 기관. 단령역 은 전주 에서 장수 방면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했는데, 지금의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단양리 원단양 마을 로 추정된다. 단령역 은 『신증동국여지승람』 에 진안현 의 남쪽 5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금산 제원도 찰방(錦山濟原道察訪)...
-
...수 , 임실 , 순창 , 남원 등지에서 의병 활동을 전개하였다. 한사국 이 속해 있는 호남 의병 창의 동맹단 은 1907년 9월 13일 아침 진안읍 반월리 에 이르러 주둔해 있던 일본군들을 습격하기 위해 진안읍 앞산에 있는 우화정 에 본진을 쳤다. 그때 아침 식사를 하고 있던 일본군을 향해 일제히 집중 포화를 가하자 혼비백산하여 우왕좌왕 하였다. 일본 헌병대장 호리구치 겐...
-
...20; 전성권(全聖權) [?~?]은 일찍부터 의롭지 못한 일에는 의기가 솟구치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고 용기와 지략도 매우 뛰어났다. 진안 에서는 1919년 3월 25일 진안읍 장날을 기해 수 백 명이 모여 만세 운동을 벌였고, 4월 3일에는 주천면 , 4월 6일에는 마령면 , 4월 12일에는 성수면 , 4월 13일에는 다시 마령면 ...
-
... 진안 동맹회(鎭安同盟會) '를 조직하여 본격적인 항일 대열의 길에 들어서게 되었다. 이어 진안 일대의 대표적인 의병 조직인 이석용(李錫庸) 의진(義陣)에 합류한 후 진안읍 을 습격하여 일본군을 패주시키고 많은 군수물자를 노획하기도 하였다. 1908년(융희 2) 3월에는 운현(雲峴) 에서 일본군과 일대 격전을 벌였으나 박운서(朴雲瑞) 등...
-
... “백리수풍 망려필식(百里樹風望閭必式)” 여덟 자로 글을 지으니 당시 사람들이 서로 전하며 암송하였다고 한다. 그 뒤 전라 병사(兵使) 이관연(李觀淵) 이 수직(壽職)으로 천거하여 숭정대부 동지충추원사(崇政大夫同知中樞院事)에 올랐다. 묘는 진안군 진안읍 물곡리 서주동(鼠走洞) 선영(先塋) 아래에 있으며, 최병심(崔秉心) 이 찬한 묘갈명이 있다
-
...정점으로 활동을 펴다가 후에는 여러 의진으로 분리하여 항전을 펴 나갔다. 석전리(石田里) 에서 20여 명의 의병을 모집하여 기병한 이석용 부대는 1907년 9월 13일 진안읍 을 점령하였고, 11월 17일에는 장수 를 공략하여 일본군을 격퇴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었다. 김사범 은 이석용 의병장이 거의할 때 함께...
-
...20; 전성학 은 진안 , 장수 , 임실 , 남원 등지에서 후군장으로서 의병 활동을 전개했다. 전성학 이 속해 있는 동맹단은 1907년 9월 13일 아침 진안읍 반월리 에 이르러 주둔해 있던 일본군들을 습격하기 위해 진안읍 앞산에 있는 우화정(羽化亭) 에 본진을 쳤다. 그때 아침 식사를 하고 있던 일본군을 향해 일제히 집중 포화를 가하자 혼비백산하여 우왕좌왕하였다. 일본 헌병대장 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