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적인 거리제는 진안군 주천면 신양리 금평 마을 , 주천면 신양리 성암 마을 , 진안읍 물곡리 종평 마을 등에서 행하여지고 있다. 전라북도 산간 지역에 ... 저수지 제방에서 지내는 제의의 한 형태이다. ‘용왕제' 혹은 ‘방죽제'라고도 한다. 진안읍 단양리 내사양 마을 과 진안읍 군상리 저수지 등에서 제의가 행하여졌다. ...
-
... 어른에게 올리고 그 앞에서 먼저 세배를 올린다. 그런 후에 차례를 모신다. 전라북도 진안읍 종평 마을 은 차례를 마친 후에 집안 어른께 세배를 드리고 나서 동네 어른들을 찾아...서 ‘입춘대길 만사 여의형통(立春大吉萬事如意亨通)'이라 쓴 입춘 부적을 준다. 진안군 진안읍 종평 마을 에서는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建陽多慶)'이란 입춘 축을 붙인다. ...
-
...나온 결과로 독경을 하거나 굿을 한다. 당골이 푸닥거리도 하고, 안택이나 시월상달 고사도 하며, 뱃고사 등도 주관하고 당산제의 사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진안군 진안읍 에서 활동하는 원양순 은 세습무인 당골이고, 또 다른 황○○도 당골인데, 마을을 돌아다니면서 주로 안택굿을 해준다. 깨끗한 한복 차림으로 단정히 앉아 징과 북 장단에 맞...
-
... 에는 전라좌도 진안 중평굿 보존회 가 결성되어 전수 및 공연 활동을 하고 있으며, 지신밟기 도 정초에 원하는 마을이 있을 경우에 보존회 차원에서 행하고 있다. 현재 진안읍 연장리 와 오천리 마을 등에서 지신밟기 를 하고 있다. 또한 전라좌도 진안 중평굿 보존회 에서 주관하는 행사로 정월 대보름굿 ‘망월이야'가 있는데, 이 행사에 맞...
-
...탑 등에서 당산제[거리제, 팥죽제]를 지내는 2중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진안군 진안읍 오천리 평촌 마을 , 마령면 계서리 방화 마을 , 성수면 외궁리 원외궁 마을 ...준다. 그러나 오늘날 이러한 동제의 이중 구조는 점차 단일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진안읍 단양리 내사양 마을 은 산신제와 탑제, 진안읍 단양리 외사양 마을 은 산신제와 ...
-
...여 어른에게 올리고 그 앞에서 먼저 세배를 올린다. 그런 후에 차례를 모신다. 진안군 진안읍 종평 마을 에서는 차례를 마친 후 집안 어른에게 세배를 드리고 옷을 갖추어 입고 동... 저수지 제방에서 지내는 제의의 한 형태이다. ‘용왕제' 혹은 ‘방죽제'라고도 한다. 진안읍 단양리 내사양 마을 과 진안읍 군상리 저수지 등에서 제의가 행하여졌다. ...
-
...에 팥죽 한 양푼을 윗목에 떠다 두었다가 먹는다. 이외에도 광, 뒤주, 정지에도 한 그릇씩 가져다 둔다. 이 팥죽을 먹으면 나이가 한 살 더 먹게 된다. 진안군 진안읍 종평 마을 에서는 혼인 운이 닿지 않아 혼인을 미루어 두었다가 동지 가 지나면 해가 바뀌었다고 하여 혼인을 했다고 한다. 진안군 부귀면 회구룡 마을 에...
-
... 큰 나무에 주로 매달았다. 여자들은 그네를 뛰며 하루를 논다. 그러나 이 때가 모심기 준비와 보리 베기로 일손이 바빴으므로 별반 즐겁지 않았다고 한다. 진안군 진안읍 종평 마을 에서는 단오날 오는 비를 ‘단오 물'이란 한다. 단오 무렵에 올모를 심어야 하는 때이므로 단오 물은 농사에 이로웠다. 또한 모를 심어야 하므로 은근히 기다리기...
-
...가 끝났다는 의미에서 잔치를 한다. 농사를 제일 잘 지은 머슴을 소에 태우고 돌아다니면 마을의 부자가 닭을 잡고 죽을 끊여 이들과 마을 사람을 대접한다. 진안군 진안읍 종평 마을 에서는 백중날 주민들이 모여 농사가 잘된 집에 가서 장원례를 내라고 한다. 술 한 동이를 내놓으면 그것을 나누어 먹으면서 하루를 논다. 백중 무렵이 되면 나락...
-
...다. 복조리 걸기는 복이 들어오라고 매다는 것으로, 복조리 2개를 사서 서로 교차시켜 방문 위에 매단다. 설날 에 가장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는 것은 세배이다. 진안읍 종평 마을 은 차례를 마친 후에 집안 어른께 세배를 드리고 이후 동네 어른들을 찾아뵙는다. 마을의 상노인, 중노인께 세배를 올리는데, “과세는 편히 쇠셨습니까?”라고 덕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