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와 인생 의례 중에서도 특히 임신과 출산과 관련하여 찾아 볼 수 있다. 그밖에 상례 관련 금기어와 농사 관련 금기어 등이 전해진다. 1. 동제 관련 금기어 진안읍 내사양 마을 은 매년 음력 정월 초아흐렛날 탑제를 모신다. 이때 탑제를 총괄하는 제주를 주민 중에서도 깨끗하고 정갈한 사람으로 선정한다. 일단 제주로 선정되면 제주는 여러 ...
-
...우 고령인데다 건강까지 좋지 못하고, 또 「양산도」 를 부를 기회가 거의 없어 더 이상의 자연 전승은 힘든 상황이다. 진안군 마령면 은 예전부터 생활권이 진안읍 보다 전라북도 임실군 오수 나 관촌 에 가깝다 실제 마령 지역에서 “백마성[ 백운면 , 마령면 , 성수면 ]은 진안 과 다르다”는 말을 곧잘 들을 ...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에 있는 한국 문인 협회 진안 지부 에서 발간하고 있는 연속 간행물. 『진안 문학』 은 한국 문인 협회 진안 지부 [전 진안 문학회 ]에서 발간하고 있는 연속 간행물로 2013년 12월 현재 21호까지 발간하였다. 1990년대 초기 지방화 시대의 물결로 1991년 사단 법인 진안 문화원...
-
... [여, 안천면 신괴리 ], 박영순 [여, 주천면 주양리 ], 정봉균 [남, 안천면 신괴리 ], 정동춘 [남, 상전면 월포리 ], 김두화 [남, 진안읍 가막리 ], 김칠귀 [남, 진안읍 정곡리 ], 최진호 [남, 마령면 평지리 ], 김경남 [남, 성수면 용포리 ]이 부른 「상여 소리」 가 채록되어 있다. 「상여 소리」 1...
-
...여립 사건의 배경지에서 주로 전승되고 있다. 오누이 힘내기와 풍수담이 결합된 신언충 남매 이야기와 달리 정여립 전설은 설화적 구조를 온전히 갖추지 못한 경우가 많다. 진안읍 가막리 에는 정여립 장군이 죽도 를 끼고 있는 천반산 에 피난을 와서 군사 훈련을 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정여립 장군이 술법으로 강변의 돌을 던져서 성을 쌓...
-
... 일에 전념하면서 『긍구당유고(肯構堂遺稿)』 와 한시 114수를 남겼다. 가재 전동흘(全東屹) [1610~1705]은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진안군 진안읍 가림리 에서 태어났으며, 유명한 『장화홍련전』 을 남겼다. 삼의당 김씨 [1769~1823]는 조선 후기 여류 문학가로서 더욱 주목할 만하다. 삼의당 김씨 부부는...
-
...에는 기능요로서 구분하기 어려운 민요들도 전승된다. 부귀면 두남리 에서 채록된 「동학 혁명 노래」 와 용담면 와룡리 에서 채록된 「아리랑」 과 「사별가」 , 진안읍 반월리 에서 채록된 「담바구 타령」 과 「화투 노래」 가 대표적인 노래이다. 부귀면 두남리 에서 전승되는 「동학 혁명 노래」 를 보면, “새야 ...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오천리 외오천 에서 채록한 어느 주민이 직접 체험했다는 이야기. 진안군 진안읍 오천리 외오천 주민이 제보한 「저승 체험담」 은 제보자가 30살 때 감나무에서 떨어져서 죽었다 살아났는데, 그 사이에 저승을 체험하고 돌아왔다는 이야기로, 일종의 일화담·체험담의 성격을 띤다. 「저승 체...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오천리 외오천 에서 전해오는 쫓겨난 딸이 사회적 성공을 거둔 후 거지가 된 아버지를 만나 보살피며 산다는 이야기. 진안군 진안읍 에서 전해오는 「내 복에 산다」 는 전국적으로 존재하는 광포 설화이다. 「내 복에 산다」 유형의 설화는 「숯 굽는 총각」 이라는 제목으로도 전승, 조사된다. 다만...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가림리 에서 전해오는 메기가 은혜갚은 이야기. 진안군 진안읍 가림리 에서 전해오는 「메기의 보은」 이야기는 한 부잣집 아들이 메기가 써 준 ‘두상불세유(頭上不洗油)', ‘필두승가소(筆頭蠅可笑)', ‘미삼승조칠두(米三升曺七斗)'라는 세 구절 덕분에 목숨을 구했다는 전형적인 물고기 보은담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