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101382
한자 崔碩基
이칭/별칭 응도(應度),동주(東洲)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전민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4년 9월 25일연표보기 - 최석기 출생
몰년 시기/일시 1987년연표보기 - 최석기 사망
출생지 최석기 -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노항리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최석기 거주 -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용화리 지도보기
성격 문인
성별
본관 영천
저술 『하락연의(河洛演義)』 외

[정의]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문인.

[가계]

최석기(崔碩基)의 본관은 영천(永川). 자는 응도(應度), 호는 동주(東洲)이며, 1904년(고종 41) 9월 25일 현재의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노항리에서 3형제 중 2남으로 태어났고, 1987년 윤 6월 21일 8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고조는 최달효(崔達孝)이며, 증조는 최학조(崔學祚), 조부는 최계규(崔啓奎)이다. 아버지는 최준(崔遵)이며, 어머니는 오천 정씨(烏川 鄭氏)로 정치수(鄭致守)의 딸이다. 부인은 밀양 손씨(密陽孫氏)로 일찍 죽어 후사(後嗣)가 없으며, 또 한 부인은 오천 정씨(烏川鄭氏)로 슬하에 2남 3녀를 두니, 아들은 최건(崔鍵)·최발(崔鉢)이며, 사위는 김재윤(金在潤)·장재한(張在翰)·황광섭(黃光燮)이다.

[활동 사항]

최석기는 천품이 온화하고 자질이 뛰어나 어릴 때는 중부(仲父)에게 수학하다가 1921년 명암(明庵) 이태일(李泰一)에게 경학을 두루 섭렵하였으며, 천문·지리·역사·역학·예악 등 다방면에 통달했다.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자 가례에 준하여 지성을 다하고, 1942년에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용화리에서 지냈는데, 광복 후 학문과 덕망이 함께 높아짐에 따라 배우러 오는 자가 밀려들어 동주학당(東洲學堂)을 개설하여 국어·산수·역사·지리·예악·도덕 등의 과목을 교육하였고, 동인사(同人社)를 결성하여 윤리를 강론하고 덕업을 권장하였다.

1946년 영천 노항리(魯巷里)로 돌아와 학당을 신축하고 체제를 정비하여 더욱 육영(育英)에 진력하였으며, 그 후 삼산(三山)·하양(河陽)·영천시 대전동 등지로 옮겨 후진을 계도하니. 문하에 수업한 자가 1,300여 명에 이르렀다. 만년에 서울로 이사하여 저서를 총정리하여 간행하였다.

[학문과 저술]

저서로는 『하락연의(河洛演義)』, 『동서문답(東西問答)』, 『국문정음(國文正音)』, 『동주만설(東洲蔓說)』, 『경해의절(經解疑節)』, 『우주설(宇宙說)』, 『대원력기(大元曆紀)』, 『주역정해(周易正解)』, 『학용주해(學庸註解)』, 『동주수필록(東洲隨筆錄)』, 『단군조선(檀君朝鮮)』, 『천부경해(天符經解)』, 『삼일신고해(三一神誥解)』, 『동주일기(東洲日記)』 등이 있다.

[묘소]

최석기의 묘소는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용산리 원각(元覺)에 계좌(癸坐)향으로 있다.

[상훈과 추모]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노항리동주최선생유허비(東洲崔先生遺墟碑)가 남아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