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구비 전승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0028
한자 口碑傳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기대

[정의]

세종 지역에서 구술을 통하여 전승되어 온 이야기나 노래 등 지식의 총칭.

[개설]

구비 전승은 인간의 음성 언어를 활용하여 전승되어 온 지식을 총칭한다. 구비 전승 대상은 생활에 필요한 지식부터 예술 형식을 띠는 노래, 서사 구조로 되어 있는 이야기까지 두루 포함된다.

구비 전승 과정은 기억과 관습에 의존하기 때문에 세대를 거치면서 해당 집단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 것들이 남게 된다. 전승되고 있는 이야기나 지식이 현재 지역이나 지역민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에서 세종 지역에 다양하게 구비 전승되고 있는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세종특별자치시의 민요]

민요는 구비 전승되고 있는 대표 형식으로, 매우 오랜 기간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불러왔다. 이는 민요가 삶과 본질적으로 직결되어 있으며, 누구나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는 음악적 특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일하는 과정, 특별한 의식을 행하거나 즐겁게 노는 과정에서도 민요를 불러 왔다.

세종 지역의 민요는 큰 범주에서 보면 충청남도 민요에 속한다. 충청남도는 지역적으로 서쪽에는 바닷가를 면하고 있고, 경기도·충청북도·전라북도와 접하여 있다. 때문에 일찍부터 다른 지역과의 교류가 쉽게 이루어졌다.

다양한 교류는 문화적인 측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세종 지역의 민요 역시 다른 지역의 민요를 받아들이고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었으며, 지역이 다르다 하더라도 민간 속 삶의 양상은 비슷한 부분이 많았기 때문에 민요의 많은 내용이 공유되었다. 입에서 입으로 전하는 만큼 쉽게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었고, 또한 쉽게 받아들인 것이다.

「밭 매는 소리」

「밭 매는 소리」는 옛 남면 양화리[현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의 조수성에게서 채록하였다. 밭에서 잡초를 제거하며 부르는 노래로, 전국적으로 밭이 있었던 만큼 지역마다 「밭 매는 소리」가 존재한다. 「밭 매는 소리」는 작업 방법이나 참여하는 인원에 따라 차이가 있다. 조수성에 의하여 채록된 소리는 선창과 후창으로 이루어져 있다. 후창 소리는 ‘올러 올러를 가시는구나’이다. 후창을 통하여 여러 사람이 밭 매는 작업에 참여할 때 부른 것임을 알 수 있다.

「방아타령」

「방아타령」은 전동면 미곡리의 전온예에게서 채록하였다. 벼나 보리를 수확한 후 껍질을 벗기는 과정에서 방아를 찧는다. 이때 「방아타령」을 부른다. 민요는 “쩔거덩 쩔거덩 찧는 이 방아/언제나 다 찧고 잠이나 잘까”로 시작한다. 쩔거덩이라는 표현과 밤을 새워 찧는 과정을 통하여 디딜방아로 나락을 찧고 있는 모습이 연상된다. 세종 지역에서는 「방아타령」으로 전승되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유사한 민요로 「디딜방아타령」이라는 명칭을 쓰기도 한다.

「솥을 굴 때 부르던 소리」

「솥을 굴 때 부르던 소리」는 금남면 석교리의 이봉기에게서 채록한 것이다. 농업이 아닌 대장간에서의 노동을 노래한다는 것에서 차별점을 가진다. 솥을 만드는 과정에서는 쇠를 잘 녹여야 하며, 쇠를 녹이기 위하여서는 풀무질을 통하여 온도를 높여야 한다. 풀무질은 뜨거운 불 앞에서 행하는 노동이기에 매우 고단하다. 이를 달래기 위하여 민요를 부른 것이다. 「솥을 굴 때 부르던 소리」를 통하여 세종 지역의 다양한 노동 양상과 그에 따른 민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비단짜기 노래」

「비단짜기 노래」은 옛 남면 양화리[현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의 임여사에게서 채록하였다. 과거 여성의 노동에서 베를 짜는 것은 매우 흔한 일이었다. 이로 인하여 전국적으로 ‘베틀 노래’가 널리 퍼져 있다. 그러나 비단을 짜는 것은 누에를 기르는 일이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에 베 짜는 것만큼 흔하지 않았다. 또한 세종특별자치시를 끼고 흐르는 미호천 건너 충청북도 청주시 강내에는 ‘한국잠사박물관’이 있다. 이러한 점을 종합하여 볼 때 「비단짜기 노래」의 전승을 통하여 누에 농사가 활발하였을 세종 지역의 생활 모습을 유추할 수 있다.

「상여소리」

「상여소리」는 전동면 석곡리의 박길종에게서 채록하였다. 「상여소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의식요(儀式謠)[여러 가지 의식을 치르면서 부르는 민요]로, 망자를 상여에 싣고 무덤으로 가는 중에 부르는 민요이다. 「상여소리」는 장례문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점점 사라져 가는 민요 중 하나이다. 「상여소리」는 상여꾼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기에 흔히 교환창(交換唱)[민요의 가창 방식 가운데 하나로, 선창자와 후창자가 모두 변화 있는 가사를 주고받는 식으로 부르는 창법]으로 부른다. 민요의 후창은 ‘어허이 어이화 에허이 어이화’로 되어 있다.

「아기 업고 부르는 노래」

「아기 업고 부르는 노래」는 금남면 장재리의 안시단에게서 채록하였다. 「아기 업고 부르는 노래」는 자장가 류의 민요로, 전국적으로 흔히 불리던 노래이다. 많은 가정에서 아이 기르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그만큼 보편적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금자동아·은자동아·옥자동아·일월동아·채색동아·오색동아·귀염동아·화목동아·우애동아·효자동아’가 나오는 가사를 통하여 노래처럼 자라길 바라는 부모의 마음이 잘 드러난다.

「징거미타령」

「징거미타령」은 금남면 용포리에 거주하는 임명순에게서 채록하였다. 징거미는 민물새우를 뜻하지만 민요에서는 빚 독촉을 견딜 수 없던 화자가 자신의 몸을 조금씩 떼어 팔아 갚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경상도 지역에서 많이 불린 민요이기도 하다. 또한 세종 지역에는 이전부터 민물새우가 많았고, 민물새우를 활용한 음식도 잘해서 먹었다. 따라서 민물새우를 소재로 부르는 「징거미타령」이 일찍이 세종 지역에서 불린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징거미타령」의 전승을 통하여 세종 지역에 다양한 민요가 구비전승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송문리의 창부타령」

「송문리의 창부타령」은 장군면에서 채록하였다. 채록자는 「송문리의 창부타령」이 여인의 심리를 길게 노래하는 것으로, 소리 자체가 판소리를 연상시키는 독특한 노래라고 하였다. 1998년 채록될 당시 「창부타령」이라는 명칭을 썼지만 기존에 알려진 「범박타령」과 유사하다. 노래의 앞뒤로 후렴구가 있다.

「장군면의 두레 논매기 소리」

장군면에서 채록된 「장군면의 두레 논매기 소리」는 마을 사람들이 함께 논을 매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민요는 메나리조로 되어 있다. 세종 지역의 경우 메나리조의 논 매는 소리는 장군면 일부 마을에서만 불린다. 같은 세종특별자치시에 속하지만 그 안에서도 지역에 따라 민요가 다르게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세종특별자치시의 설화]

세종특별자치시의 설화는 전설과 민담 중심으로 구비 전승되고 있다. 설화에는 신화도 포함되지만 지역만의 특징적인 신화는 현재 찾아보기 어렵다. 세종 지역의 전설이나 민담은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에 대한 설화, 자연환경에 대한 설화, 사람들이 인위적으로 만든 건축물이나 불상과 같은 예술품에 대한 설화 등으로 나누어진다.

지역의 대표적 사찰인 비암사(碑巖寺)를 ‘뱀절’로 부르는 것에 얽힌 전설과 조선 전기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실린 원수산(元帥山) 등에 대한 전설은 오랜 연원을 지닌 것으로 파악된다. 『연기군지』 등에서는 지역의 설화를 지명(地名)·명당(明堂)·명산(名山)·치령(峙嶺)·암석(巖石)·굴혈(窟穴)·지소(池沼)·거목(巨木)이나 관아(官衙)·성곽(城廓)·사찰(寺刹)·불상(佛像)·석탑(石塔)·총묘(塚墓)·제당(祭堂) 등으로 분류하여 소개하고 있다. 한편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이후 행정 구역이 새롭게 재편되면서 과거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과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현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서 전승되던 전설이나 민담도 세종특별자치시의 설화에 포함되었다.

「고마니 고개」

옛 남면 나성리[현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 일대에 다섯 가구가 살고 있는 마을이 있었는데 가구마다 외동아들이 있었다. 백제와 나·당군의 전쟁 당시 지역의 남자들은 모두 전쟁터에 나가야 했다. 다섯 집안의 외동아들들도 전쟁에 나갈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다섯 아들 모두 백제의 멸망과 함께 용감하게 전사하였다. 그러나 죽은 것을 모르는 마을의 가족들은 하루에도 몇 번이고 외동아들이 넘어간 고개를 바라보았다고 한다. 이후 이 고개를 넘어가면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고 해서 ‘고마니고개’라고 불렀다고 한다.

「양화리 상여바위」

임난수 장군은 세종특별자치시의 역사적 인물이다. 임난수 장군과 관련하여 전월산상여바위’ 이야기가 전승되고 있다. 고려 후기 장수 임난수는 조선이 개국하자 고려에 대한 충성심을 지키기 위하여 현재 세종 지역에 은거하였다. 임난수는 은거하는 동안 산초와 풀뿌리로 연명하였으며, 전월산의 바위에서 고려를 그리워하다 죽었다고 한다. 이러한 임난수의 충심을 기리기 위하여 임난수가 찾던 바위를 ‘상려암’ 또는 ‘상여바위’라고 불렀다고 한다.

「명학의 장수」

세종특별자치시에는 명학리라는 지명이 있다. 옛날 명학리에서 장수가 태어날 것이라는 점쟁이의 점괘가 있어서 왕이 이를 막고자 군사를 보내었다고 한다. 군사들은 명당자리를 찾다가 큰 학이 알을 품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산 전체를 불태웠다. 불이 나자 학은 날아갔지만 이후에도 학이 많이 날아와 울었다고 한다. 명학리에서는 언젠가 다시 뛰어난 인물이 지역에서 나올 것이라 믿고 있다고 한다.

「한다리 전설」

한다리 전설김종서와 관련된 설화이다. 김종서는 조선 세종 당시의 장군이며, 세조에 의하여 죽임을 당한 인물이다. 김종서의 무덤은 충청남도 공주시 대교리에 있지만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이후 세종 지역에 포함되면서 전설 또한 세종특별자치시 설화에 포함되었다. 「한다리 전설」김종서가 죽은 후 김종서가 타던 말이 김종서의 잘린 다리를 가지고 왔으며, 물고 온 다리를 묻고 김종서의 묘를 썼다고 한다. 그 때문에 무덤이 있는 곳을 ‘한다리’라 하고, 한자로는 ‘대교리(大橋里)’라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