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0574
한자 西山大師行草精選四家錄
영어공식명칭 Seosandaesa Haengcho Jeongseonsagarok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구림리 799]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황호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술 시기/일시 1607년연표보기 - 서산대사 행초 정선사가록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2010년 10월 25일연표보기 - 서산대사 행초 정선사가록 보물 제1667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서산대사 행초 정선사가록 보물로 재지정
소장처 대흥사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구림리 799]지도보기
성격 서첩
저자 청허 휴정
권책 15장 30면[첩장]
규격 20.3㎝[가로]|34.7㎝[세로]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대흥사에 있는 17세기 초 청허 휴정이 중국의 『사가어록』을 발췌한 문헌.

[개설]

『서산대사 행초 정선사가록(西山大師行草精選四家錄)』은 조선 중기의 고승이면서 승병장인 청허 휴정(淸虛休靜)[1520~1604]이 중국의 『사가어록(四家語錄)』의 중요한 구절을 발췌한 문헌이다. 『사가어록』은 중국 당(唐)대 선문(禪門)을 대표하는 임제종을 성립시킨 마조도일(馬祖道一)[709~788]·백장 회해(百丈懷海)[749~814]·황벽 희운(黃檗希運)[?~850]·임제 의현(臨濟義玄)[?~867]의 중국 임제종을 성립시킨 4명의 선승이 남긴 어록이다.

서산대사 행초 정선사가록해남 대흥사 성보박물관에 전시 보관되고 있다. 2010년 10월 25일에 보물 제1667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안내판이 설치되어 문화재에 대한 이해를 돕고 감시 장치[CCTV]를 설치하여 보호 관리하고 있다. 관리 주체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이다.

[형태/서지]

서첩은 길게 이은 종이를 병풍처럼 접어 책을 만드는 첩장(帖裝) 형식으로 되어 있다. 전체 크기는 가로 20.3㎝, 세로 34.7㎝, 반곽(半郭)[글이 담긴 테두리 안쪽 면] 크기는 가로 17.5㎝, 세로 27.3㎝이다. 표제는 ‘사대사어(四大師語)’, 내제[속표지나 본문의 제목]는 ‘사가록정선(四家錄精選)’, ‘정선사가록(精選四家錄)’이라고 적혀 있다. 모두 15장 30면으로 구성되었으나 제7~9장이 탈락하였고 1장은 오세창이 편집한 『근묵(槿墨)』[성균관대학교 박물관 소장]에 실려 있다. 필적 사이사이에 ‘선교도총(禪敎都總)’이라는 도장이 찍혀 있으며 이는 ‘팔도선교대총섭(八道禪敎大總攝)’을 지냈던 서산대사의 직함을 의미한다. 휴정은 중국의 『사가어록』 가운데서 중요한 부분을 뽑아 『강서마조사가록초(江西馬祖四家錄草)』를 편찬하였다. 『강서마조사가록초』를 다시 정선(精選)하여 펴낸 것이 『정선사가록』이다. 휴정 사후인 1607년(선조 40) 전라남도 순천 송광사(松廣寺)에서 목판본이 간행되었다.

[구성/내용]

『사가어록』에 나오는 네 선승의 법계를 표시하면, 육조 혜능, 남악 회양, 마조도일, 백장 회해, 황벽 희운, 임제 의현으로 이어진다. 한국불교전서본 『정선사가록(精選四家錄)』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전체 4단(段)에 지나지 않는 짧은 문헌이다. 구성은 마조도일의 시중(示衆), 백장 회해의 상당 법어(上堂法語), 황벽 희운의 상당 법어, 임제 의현의 상당 법어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내용을 보면 임제종의 중심 사상인 돈오(頓悟) 사상을 드러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돈오 사상이란 ‘자기 마음이 본래 부처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깨닫는 것으로, 인간의 마음은 본래부터 부처와 다름이 없으므로 마음 밖에서 따로 부처를 구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마조도일의 시중(示衆)에서는 ‘자심(自心)이 곧 부처이니 이 마음이 불심(佛心)인 줄 알고 마음 밖에서 따로 부처를 구하지 말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백장 회해의 상당 법어에서는 ‘망상(妄想)만 여의면 곧 여여(如如)한 부처임’을 강조하고 있다. 또 황벽 희운의 상당 법어에서는 ‘도(道)를 배우는 사람이 무심(無心)하지 않으면 오랫동안 수행하여도 해탈을 이룰 수 없음’을 설하고 있으며, 임제 의현의 상당 법어에서는 ‘중생이 치구심(馳求心)을 쉴 때 부처와 하나가 됨’을 설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서산대사 행초 정선사가록은 당시 고승의 필적이 남아 있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서산대사가 남긴 친필 서첩이라는 특징이 있다.

서산대사 행초 정선사가록휴정이 직접 지은 책은 아니지만 짧은 문헌 속에 조선 중기 선 사상을 엿볼 수 있다. 조선시대의 조계종은 임제종을 계승하였음을 자부하였는데 임제종의 중심 사상인 돈오 사상을 통하여휴정의 사상 경향이 잘 드러나는 문헌이다. 휴정의 자유분방한 붓놀림의 운치는 휴정과 교유하였던 초서 명필 조선 4대 서예가인 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彦)[1517~1584]의 서풍과 기상이 닮아 조선시대 서예사에서 특별히 기록할 만하다. 조선 전기와 중기 고승의 필적이 매우 드문데다가 역사적 인물인 서산대사의 필적이라는 점에서 보존 가치가 매우 크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