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평도호부관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000370
한자 富平都護府官衙
영어음역 Bupyeongdohobu Guan-a
영어의미역 Bupyeong Magistrate’s Office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서울특별시 구로구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안홍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2년 3월 2일연표보기 - 부평도호부관아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부평도호부관아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재지정
성격 관아|청사
양식 목조 건축|굴도리집|합각지붕
건립시기/일시 1413년(태종 13)연표보기
정면칸수 6칸
측면칸수 2칸
소재지 주소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 943[어사대로 20] 부평초등학교 내
소유자 인천광역시 교육청
문화재 지정번호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정의]

서울특별시 구로구를 관할하였던 조선시대 부평도호부의 청사.

[개설]

부평도호부관아는 조선시대 구로구를 관할하였던 행정 관청이다.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으로 지방 행정 제도를 개혁하였을 때, 오류리·개봉리·고척리·천왕리·항리·온수리 및 궁리 지역 등 7개 리가 경기도 부평군 수탄면에 속하였다.

[위치]

부평인터체인지에서 계양로 방면으로 직진해서 인천지하철 경인교대입구역을 지나면 오른편에 부평초등학교가 있는데, 부평도호부관아는 부평초등학교 내에 위치한다. 경인교대입구역이나 계산역에서 부평초등학교까지 도보로 이동 가능하며, 거리는 양 방면 모두 300m 내외로 가깝다.

[변천]

부평도호부관아는 1413년(태종 13)에 부평부가 부평도호부로 승격되면서 건립된 것으로 여겨지며, 건립 착수 후 5년 뒤인 1418년(태종 18)에 완공된 것으로 보인다. 『부평부읍지(富平府邑誌)』에 의하면 중심 업무를 보던 동헌, 관리나 외국 사신이 묵던 숙박 시설인 객사, 죄를 다스리던 포도청 및 내아와 서헌 등 총 23동으로 이루어진 웅장한 규모의 건물이었다고 한다.

1677년(숙종 3)에 중수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나 정확한 내용은 알 수 없다. 근래 들어 부평초등학교를 세우면서 대부분의 건물은 소실되었고, 현재 남은 건축물은 1968년에 원래의 자리에서 이전한 것이다.

[형태]

부평도호부관아는 정면 6칸, 측면 2칸의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다. 건축 양식은 합각지붕을 한 굴도리집으로 공포(栱包)는 없다. 현재 남아 있는 1개 동의 건물은 원래 ‘ㄱ’자 형태였으나, 지금의 위치로 옮겨 오면서 ‘一’자형 건축물로 바뀌었으며, 이 또한 동헌인지 내아인지 정확히 확인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현황]

2010년 기준 부평도호부관아의 소유자 및 관리자는 인천광역시 교육청이다. 1982년 3월 2일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부평도호부관아는 1개 동만 남아 있는 상태이며, 건물 주변에 철제 울타리를 쳐 놓아 외부와의 접근을 차단하고 있다. 건물 앞에는 정조가 부사를 인견하며 활을 쏘고 손을 씻었다는 ‘욕은지(浴恩池)’[인천문화재자료 제1호]가 있다. 본래 문화재 명칭은 '부평도호부청사'였으나 2019년 10월 '부평도호부관아'로 변경되었다.

[의의와 평가]

부평도호부관아 건립 당시 부평도호부는 현 경인 지역의 중심지로 현재의 구로구 일대도 그 관하에 포함되었었다. 부평도호부관아 건물뿐 아니라 그 앞에 있는 욕은지도 조선시대의 건축 기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10.16 문화재 명칭 변경에 따른 현행화 부평도호부청사 -> 부평도호부관아 [현황] 추가: 2019년 10월 문화재 명칭 변경됨.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