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1872년 지방 지도』「양주 지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900178
한자 1872年地方地圖楊州地圖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서울특별시 도봉구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이현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작성 시기/일시 1872년연표보기 - 『1872년 지방 지도』「양주 지도」 작성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산56-1
성격 고지도
관련 인물 흥선 대원군|고종
용도 지도

[정의]

현재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을 포함하는 개항기의 양주 지도.

[개설]

『1872년 지방 지도』는 개항기에 제작된 필사본 회화식 지도책으로 국가의 주도로 제작된 전국 단위의 군현 지도이다. 현재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제작 발급 경위]

19세기로 넘어 오면서 조선 사회는 세도 정치로 인한 정치적 혼란과 더불어 삼정(三政)의 문란으로 민생의 안정이 크게 위협 받았으며, 서구 열강과 접촉하는 경우가 증가하면서 대내외적 위기감이 팽배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고종(高宗)이 즉위하고 흥선 대원군(興宣大院君)이 집권하면서 과감한 제도 개혁이 추진되었다. 특히 서양 세력과의 접촉을 통해 국방 및 치안 관련 부문에서 많은 정책이 추진되었다. 그 과정에서 정책 추진의 결과를 점검하고 변화된 지방의 실정(實情)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시급한 과제였다. 이러한 목적에서 1871년(고종 8)에는 각 지방의 읍지를 편찬하게 하였고 이듬해인 1872년에는 전국 차원의 지도 제작이 추진되었다. 『1872년 지방 지도』는 그 결과물로서 제작된 것이다.

[형태]

『1872년 지방 지도』는 회화식 채색 지도로 총 459매의 지도로 구성되어 있다. 지도 한 장에는 한 개 읍의 지도가 그려져 있으며 각 지도의 규격은 서로 다르다.

[구성/내용]

『1872년 지방 지도』「양주 지도」에는 소속 면의 명칭, 도로, 하천, 산, 창고, 능묘, 역(驛), 성곽, 사찰 등이 표시되어 있다. 도로는 붉은색 선으로 표시하였고 서울로부터 동쪽으로 20㎞[50리] 떨어져 있음을 표시하였다. 지도 가장자리에는 간지(干支)로 방위를 표시하였고 인접한 군현도 기록하고 있다. 지도에 기록된 정보의 양은 각 지도마다 차이가 있다.

『1872년 지방 지도』「양주 지도」 안에 해등촌(海等村), 누원점(樓院店), 연산군(燕山君) 묘가 표시되어 있다. 해등촌은 현재의 도봉구에 해당하는 지역이었다. 누원점은 개항기 함경도 및 강원도로 이어지는 교통로의 분기점에 위치하여 상업이 발달한 곳으로 유명하였고 현재의 도봉구 경내에 위치하고 있었다. 연산군 묘 역시 현재의 도봉구 경내에 위치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1872년 지방 지도』는 개항기에 제작된 관찬(官撰) 지도의 마지막 성과로 평가 받고 있다. 1871년에 내려진 명령에 이어 이듬해 완성된 것으로 짧은 제작 기간으로 인하여 일관된 지도 제작의 원칙이 결여되어 있으며 각 군현별로 담고 있는 정보량의 편차도 발생하였다. 그러나 개별 지도에 담겨 있는 정보량은 현전하는 다른 군현 지도와 비교하여 월등한 수준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