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4497 |
---|---|
한자 | 尙德祠 碑閣 |
영어공식명칭 | Sang Deoksa Bigak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대구광역시 중구 문우관길 13[남산동 570-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세욱 |
건립 시기/일시 | 1826년![]() |
---|---|
이전 시기/일시 | 1910년 - 상덕사 비각 문우관으로 이건 |
훼철|철거 시기/일시 | 1910년![]() |
현 소재지 | 상닥사 비각 -
대구광역시 중구 문우관길 13[남산동 570-1]![]() |
원소재지 | 상덕사 비각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
성격 | 비각 |
양식 | 맞배지붕 |
정면 칸수 | 3칸 |
측면 칸수 | 1칸 |
소유자 | 문우관 |
관리자 | 문우관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에 있는 조선 후기 비각.
상덕사 비각(尙德祠碑閣)이 있던 상덕사(尙德祠)는 경상감영에서 동쪽으로 1리쯤에 있던 제향 공간이었다. 상덕사 비각은 상덕사 경내에 있었으나 현재 자리로 이건되었다. 상덕사는 1682년 일휴정(逸休亭) 이숙(李䎘)[1626~1688]의 선정을 기리기 위하여 세워진 생사당으로 출발하였고, 이후 1727년 경상도관찰사로 부임한 유척기(俞拓基)[1691~1767]의 선정을 기려 이숙과 함께 배향하였다. 1826년 경상도관찰사 조인영(趙寅永)[1782~1850]이 비문을 짓고 비각을 세워 매년 중양절에 제사를 지냈다.
상덕사 비각은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의 상덕사 경내에 있었으며 1918년에 현재의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570-1로 이전하였다.
1910년 일본인들이 대구 이사청(理事廳)을 지으면서 상덕사가 헐리게 되었다. 이후 1918년 채헌식(蔡憲植)[1855~1933]이 상덕사 동쪽에 향교의 재산으로 문우관(文友觀)을 지으면서 상덕사 비각을 옮겼다. 이외에 순찰사 이공 휘숙 청덕선정비(巡察使李公諱䎘淸德善政碑), 관찰사 유공 휘척기 영세불망비(觀察使兪公諱拓基永世不忘碑), 순찰사 유공 휘척기 영세불망비(巡察使兪公諱拓基永世不忘碑), 도순찰사 친군남영사 이공 호준 영세불망비(都巡察使親軍南營使李公鎬俊永世不忘碑) 등 5기의 비석들도 함께 옮겼다.
문우관의 출입문인 ‘진덕문(進德門)’을 중심으로 왼쪽은 강당이 있고, 정면에 남향하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인 상덕사 비각이 있다.
상덕사 비각과 비석들은 조선 후기 경상도관찰사로서 현재의 대구광역시에 부임하였던 지방관들의 선정을 확인할 수 있는 사료로서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