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1438
한자 言語
영어공식명칭 Languag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승은

[정의]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체계.

[개설]

충청남도 아산 지역의 언어 체계는 중부 방언 중 충남 방언에 속하며, 다른 지역 방언들과는 다르게 소리의 길이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음장(音長) 방언권(方言圈)에 속한다.

[아산 방언의 성격]

충청남도 아산시는 지리적으로 우리나라의 중부에 있다. 언어적으로 우리나라 방언권은 동남 방언, 서남 방언, 중부 방언, 서북 방언, 동북 방언, 제주도 방언 등 여섯 개의 대방언권으로 분류되고, 다시 그 하위 방언권으로 분류된다. 아산 방언은 중부 방언 중 충남 방언에 속하며, 그 가운데에서도 충청남도 천안시, 연기군, 예산군 등과 언어권을 공유하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북으로 경기도 평택시와 안성시에, 동으로는 충청북도 진천군과 청주시에 접하고 있으므로 경기도 남부와 충청북도 서부 방언을 공유한다.

[음운적 특징]

일반적으로 아산 방언에서는 19개의 자음[ㅁ, ㅂ, ㅍ, ㅃ, ㄴ, ㄷ, ㅌ, ㄸ, ㅅ, ㅆ, ㄹ, ㅈ, ㅊ, ㅉ, ㄱ, ㅋ, ㄲ, ㅇ, ㅎ], 10개의 단모음[ㅣ, ㅔ, ㅐ, ㅟ, ㅚ, ㅡ, ㅓ, ㅜ, ㅗ, ㅏ]과 장모음, 12개의 이중모음[ㅖ, ㅒ, ㅕ, ㅑ, ㅠ, ㅛ, ㅟ, ㅞ, ㅙ, ㅝ, ㅘ, ㅢ]이 실현되고 있다. 이때 ㅅ과 ㅇ이 교차해서 쓰이는 것은 아산 방언의 특징이다. ‘/아우본다/→[아수본다]’, ‘/여우/→[여수]’, ‘/가위/→[가새]’, ‘/마을가다/→[마실가다]’, ‘/무우/→[무수]’ 등이 그 예이다.

아산 방언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충남 방언이 그렇듯이 소리의 길이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지는 음장 방언권에 속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명사 ‘매[鞭]’와 ‘매:[鷲]’, ‘밤[夜]’과 ‘밤:[栗]’, ‘눈[目]’과 ‘눈:[雪]’, 동사와 형용사 ‘달다[懸, 甘]’과 ‘달:다[熱]’, ‘갈다[換, 磨]’와 ‘갈:다[耕]’는 의미가 각기 다르다.

아산 방안의 음운적 특징은 음운 현상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어미의 고모음화는 어미 ‘-어/아X’의 기저형인 ‘-어X’ 어미 중 ‘-어야’ 에 대응되는 어미가 어간과 결합할 때 다음과 같은 굴절형을 생성하는 것이다. (’/갈아야/→[가르야]’, ‘/멀어야/→[머르야]’, ‘/있어야/→[이쓰야]’) 이 외에도 /ㅆ, ㅈ, ㅊ/ 뒤에서 어미 ‘-으X’가 ‘-이X’로 나타나는 전설모음화가 강하게 나타난다. (’/걸렸으면/→[걸려씨믄]’, ‘/있으니까/→[이씨니께]’, ‘/찾으면/→[차지믄]’) ‘/나쁜/→[나뿐]’, ‘/덮어야/→[더푸야]’, ‘/젊은/→[절문]’ 등의 원순모음화도 활발하게 일어난다. ‘/부터/→[버터]’, ‘/까지/→[꺼정]’, ‘/커녕/→[커냥]’과 같이 하강모음화로 인한 변이형도 보인다.

[문법적 특징]

아산 방언의 문법적 특징은 조사와 경어법, 시제 등에서 볼 수 있다.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보조사로 [-할라]/[-할래]와 [-할채], [-한지]/[-한치]의 어형이 나타난다. 주격조사 [-다가], 여격조사 [-더러], [-한티], [-보고]/[-보구], 비교격 조사로[-만치], [-마냥], [-매루] 등이 보인다. 경어법에서 종결어미 ‘-요’의 ‘-유’로의 실현은 충남 방언을 대표하는 특징인데, 아산 방언에서도 말끝을 길게 늘여 발음한다. 시제에서는 시간 표현의 선어말 어미 ‘-겠-’, ‘-더-’, ‘-었/았-’, ‘-느’ 등이 쓰인다.

[어휘적 특징]

충남 방언과 변별되는 아산만의 고유한 어휘를 찾아내기는 쉽지 않지만, 아산이 속해 있는 언어권에서만 쓰이는 어휘들이 있다. 예를 들어 진진[곤지곤지], 통굽 혹은 도구파리[소꿉질], 연깡개[얼레], 부리[벌, 넓고 평평하게 생긴 땅] 등은 충남 동북 지역에서 주로 쓰인다. 또 부추를 ‘졸’이라고 하는 등 서북 지역, 경기도 방언과 어휘를 공유하는 경우도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