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영암문화대전 > 영암향토문화백과 > 삶의 이야기(구비 전승·언어·문학) > 문학 > 문학 작품, 문예지
문학 작품
-
조선 전기 때 양사준이 전라도 영암군 해안에서 치른 전쟁에서 이기고 지은 전쟁 가사. 「남정가」는 1555년(명종 10) 을묘왜변(乙卯倭變) 때 양사준(楊士俊)이 우도 방어사(右道防禦使) 김경석(金慶錫)의 막하에 종사관으로 들어가 전라도 영암의 해안에서 왜구를 토벌한 뒤 전승의 기개를 노래한 전쟁 가사이다. 목판본 『남판윤유사(南判尹遺事)』에 실려 있다. 2음보 1구로 헤아려 총...
-
조선 후기 전라남도 영암 출신의 문인 박이화가 지은 가사. 「낭호신사」의 ‘낭호’는 낭주(朗州)[지금의 영암]와 서호(西湖)[군서면 서구림리에 있는 호수]에서 따온 것으로, 오늘날의 영암군 군서면의 구림 마을을 말한다. 「낭호신사」는 조선 후기 영조(英祖)와 정조(正祖) 때 박이화(朴履和)[1739~1783]가 벼슬을 하지 않고 고향 낭호에 살면서 주민들을 교화하기 위해 지은 교훈...
-
1268년에 진정 국사(眞靜國師) 천책(天頙)이 당시 영암 태수로 재직하고 있던 김서(金㥠)에게 보낸 편지. 고려 시대 백련 결사(白蓮結社) 제4세 사주(社主)였던 진정 국사 천책은 승려로 출가하기 이전 국자감에서 유학을 수학하고 과거에 합격하였으며, 출가한 후에도 유학자 및 관료들과 많은 편지와 시를 주고받았다. 「답 영암수 김 낭중 서서」도 그러한 편지들 중 하나로, 출가하기...
-
고려 명종 때 시인 김극기가 영암 월출산의 동석[흔들바위]에 대한 감회를 읊은 한시. 「동석사」는 시인 김극기(金克己)[?~?]가 국토 산하를 여행하던 중 영암 월출산 구정봉(九井峯) 동석(動石) 부근의 절간[지금은 터만 남아 있음]을 보고 읊은 기행 한시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제35권 전라도 영암군 고적 조(條)에 실려 있다. 「동석사」는 2음보 1구로 헤아...
-
고려 시대 시인 김극기가 영암 월출산의 승경을 보고 지은 한시. 「월출산」은 고려 명종(明宗)[1131~1202] 때의 문신이요, 농민시의 개척자로 불리던 김극기(金克己)가 국토 산하를 여행하던 중 영암 일대를 주유하다 월출산의 승경과 주변의 운치를 노래한 기행 한시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제35권 전라도 영암군 산천 월출산 조(條)에 실려 있다. 「월출산」은...
-
조선 성종 때 문신 김종직이 영암 지역을 순찰하던 중 월출산을 바라보며 지은 한시. 「월출산」은 경상남도 밀양에서 태어난 조선 전기 영남학파의 종조(宗祖)인 김종직(金宗直)[1431~1492]이 지은 한시이다. 말년에 전라도 관찰사로 영암 지역을 순찰하던 중 월출산의 정상을 바라보며 일에 치어 오르지 못하는 자신의 처지를 한탄함과 동시에 가야산(伽倻山)과 흡사함을 보고 고향 생각에...
-
1954년 이은상이 영암 월출산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시조. 「월출산」은 1954년 노산(鷺山) 이은상(李殷相)이 우리의 명산 40곳 중 서른다섯 번째로 읊어 시집 『조국 강산』에 수록한 시조이다. 4행 3음보로 구성된 현대 시조이다. “월출산 구정봉(九井峰)이 창검을 들고/ 허공을 찌를 듯이 늘어섰는데/ 천탑도 움직인다 어인 일인고/ 아니나 다를세라 달이 오르네.” 전문에서 보듯이...
-
조선 전기 때 제봉 고경명이 영암의 월출산을 기행하며 지은 한시. 「월출산을 기행하며 노닐다 영우 대사에게 주는 시(遊月出紀行 贈靈祐大)」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요 의병장이었던 제봉(霽峯) 고경명(高敬命)[1533~1592]이 월출산의 뛰어난 경치와 주변의 운치를 둘러보고 지은 기행 한시이다. 고경명의 유저인 『제봉집(霽峯集)』에 실려 있다. 2음보 1구로 헤아려 총 16구로 이루어...
-
1640년~1645년경 윤선도가 영암 월출산을 기행하며 지은 시조. 「조무요(朝霧謠)」는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1587~1671]가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구시리의 금쇄동에 은거하던 시절에 지은 「산중신곡(山中新曲)」 18편 중 한 편이다. 1798년(정조 22) 전라 감사 서정수(徐鼎修)가 재판하여 지금까지 전하는 『고산유고(孤山遺)』 제6권 하편 별집에 실려 있다. 3장...
문집·문예지
-
조선 후기 영암에서 활동한 가사 작가인 박이화의 시문집. 박이화(朴履和)[1739~1783]는 함양 박씨로, 자는 화이(和而)이며, 호는 구계(龜溪) 또는 용계(龍溪)이다. 시문에 매우 뛰어났으나 벼슬에는 나가지 않고 고향인 영암군 군서면 구림 마을에 살았다. 박이화의 유저인 『구계집』에는 영암 구림 마을의 주변 경치를 노래하는 「낭호신사(郎湖新詞)」 외 다수의 작품이 함께 실려...
-
조선 후기 영암 출신의 문신이자 학자인 신천익이 저술한 시문집. 신천익(愼天翊)[1592~1661]의 본관은 거창, 자는 백거(伯擧), 호는 소은(素隱)이다. 1615년 홍문관 정자(弘文館正字)를 거쳐 이조 참의(吏曺參議)가 되었으나 광해군(光海君)의 정치에 실망하여 전라남도 영암으로 낙향한 후 이우당(二友堂)에서 학문에 전념하였다. 1691년에 간행된 『소은 유고(素隱遺稿)』는...
-
전라남도 영암군 솔문학 동인회에서 매년 정기적으로 간행하는 문학 동인지. 영암군 주부 백일장과 여성 백일장에 입상한 여성 13명이 모여서 1996년 1월 8일 박원숙을 회장으로 솔문학 동인회를 창립하였고, 1998년 동인지 창간호 『행복한 사람』을 발간하였다. 크기는 가로 15㎝, 세로 22.5㎝이며, 매년 한 번씩 간행되고 있다. 창간호부터 2012년 현재에 이르기까지 회원들의...
-
조선 전기 영암 출신의 문신이자 학자인 최덕지의 시문집. 『연촌 유집(烟村 遺集)』은 연촌(烟村) 최덕지(崔德之)[1384~1455]의 시문집으로, 최덕지가 지은 소(疏) 1편과 시 3수 외 성삼문(成三問), 신숙주(申叔舟) 등의 글이 실려 있다. 1805년(순조 5)에 최세영(崔世榮)이 편찬하였고, 현재는 장서각에서 소장하고 있다. 목판본이며, 책 1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최덕지...
-
한국 문인 협회 영암 지부에서 매년 정기적으로 간행하는 기관지. 2003년 1월 24일에 결성된 한국 문인 협회 영암 지부 회원들의 창작물을 발표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003년 5월 31일 창간되었다. 크기는 가로 15㎝, 세로 22.5㎝이다. 매년 한 번씩 간행되고 있다. 초기에는 회원들의 시, 소설, 수필, 동시, 동화 이외에도 영암 문학 관련 특집과 문학평론 등이 다채롭게...
-
영암에서 활동한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인 조행립의 시문집. 조행립(曺行立)[1580~1663]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백원(百源), 호는 태호(兌湖)이다. 임진왜란(壬辰倭亂)과 광해군(光海君)의 재위로 인해 정국이 혼란하자 회의를 느끼고 영암으로 낙향하였다. 1623년의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에 잠깐 출사하였으나 이후 다시 영암으로 낙향하였다. 영암의 소화산(小華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