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삼 제조 기능 보유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801696
한자 紅蔘製造技能保有者
이칭/별칭 홍삼 제조 명인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전진로 1964[거석리 860-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규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기예능 보유자
연락처 070-7753-7788
홈페이지 송화수 홍삼(http://www.songhwasu.com/)

[정의]

전라북도 진안군에 거주하는 농림 수산 식품부 지정 홍삼 제조 분야의 명인.

[개설]

농림 수산 식품부가 2012년 식품의 명인 6명을 추가 지정하는 가운데 홍삼 제조 분야의 명인으로 진안군 부귀면의 송화수(宋和秀)[남, 81세]가 선정되었다. 송화수는 1977년 이후 전북 인삼 협동조합, 충남 금산 인삼 협동조합 전무이사를 거치면서, 삼(蔘)재배·가공 및 관리 운영에 따른 노하우를 축적하였고, 1996년 삼신 인삼 가공 영농 조합 법인을 설립하였다. 그는 『동의보감』이나 『본초강목』에 소개되어 있는 전통 홍삼 제조법을 계승하고 있다.

[홍삼 제조의 특성]

인삼은 한국 특산의 영약이다. 인삼은 생리가 까다로워 다른 식물처럼 노지에서 쉽게 자라지 못한다. 식물이라 햇볕이 필요하기는 하지만 직사광선에서는 견디지 못한다. 그래서 반양 반음(半陽半陰)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생물로, 자연 상태에서는 조건이 갖추어진 곳에서만 생육하므로 예로부터 매우 귀한 약재로 여겼다.

조선의 인삼은 탁월한 약효로 중국이나 일본 등지에서도 인기가 높았지만 자생하는 인삼, 즉 산삼(山蔘)만을 채취해서 수요에 충당했기 때문에 매우 귀하였다. 그래서 조선 시대 때 중국 인삼 무역을 하던 개성상인들이 수요를 충당하기 위하여 인공으로 삼 재배를 시도한 것이 인삼 농사의 시초이다.

이후 전국적으로 인삼 재배법이 퍼져 갔지만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농사가 아니라 대부분 가족들의 건강과 치료를 위한 자가용(自家用)이었다. 따라서 당시의 인삼 재배는 소규모로 산비탈에 나무를 세우고 솔가지를 덮어 차광하는 방법으로 재배하였다. 또한 당시의 인삼 가공은 껍질을 벗겨 백삼(白蔘)을 만드는 게 아니라 인삼을 잘 씻어 시루에 넣고 쪄서 말려 보존하는 방식이었다.

백삼으로 만드는 것은 상품성을 중시한 가공 방식으로, 냉장고가 없었던 시절 백삼으로 말리면 오래지 않아 벌레가 생기고 쉽게 부패하였으며, 껍질에 함유된 약효를 잃어버리는 치명적 약점이 있었다. 하지만 인삼을 그대로 쪄서 말리면 보존성도 좋고 약효도 유지되었는데 이것이 지금의 홍삼으로 전통적인 보관 방법이었다.

전라북도 장수군 천천면 연평리에 살던 송봉현(宋鳳鉉)[1879~1946]은 인근 산에 인삼을 경작하여 자가(自家)의 용도에 충당하였다. 전통적인 홍삼 제조술을 익힌 송봉현은 그 방법을 4남 송주방(宋注方)[1909~1980]에게 전수하였고, 송주방은 다시 장남인 송화수(宋和秀)에게 전수하였다.

[현황]

명인 송화수는 삼농인(蔘農人)으로 직접 경작에 참여하고 홍삼 가공품에 대한 품질향상과 세계 각국을 향한 판로 개척 등 홍삼의 세계화와 산업화에 기여하여 1999년 농림부 장관으로부터 ‘신지식인 농업인 상’을 수상하였다.

명인은 진안 인삼 특성화 전략의 선두업체로 자리매김한 지 오래며, 품질 향상 극대화 및 기술 전파에 매진하여 대학, 연구소와의 협약을 통해 홍삼 산업의 기반을 조성하였고 2010년 33만 달러의 수출 실적을 달성하였다.

현재는 ‘송화수 홍삼’이라는 홍삼 제조·가공 회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명인은 제조·가공 기술을 그 자녀 송인생(宋仁生)과 송유정(宋幼汀)에게 전수하고 있다.

[참고문헌]
  • 송화수 홍삼(http://www.songhwasu.com/)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