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학 가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801558
한자 南學歌辭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종교/신종교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박순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배경 지역 운장산 -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 대불리 운장산지도보기

[정의]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 대불리 운장산 일대에 포교된 신종교인 남학금강 불교와 관련된 가사.

[개설]

남학 가사는 『금강 불교 발원문』에 수록되어 있는 한글 가사이다. 『금강 불교 발원문』은 필사본으로 작자와 저작 시기가 미상이다. 따라서 남학 가사의 저작 연대도 정확히 알 수가 없지만 『금강 불교 발원문』에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남학금강 불교가 유행하던 시절에 포교를 위해 만들어진 노래 가사임을 알 수 있다. 남학 가사는 「인선가」 등 20수가 기록되어 있다.

[구성과 내용]

남학의 교리와 사상을 일반 신도들이 잘 알 수 있도록 당시의 언문체로 기록한 문학 작품인데 그 양식은 국문학의 가사 형태를 띠고 있다. 남학 가사는 총 20수인데 「인선가(人善歌)」, 「지도문(指道門)」, 「삼암유한가」, 「지은록(知恩錄)」, 「유불선삼합문(儒彿仙三合門)」, 「인과문(因果門)」, 「수신가(修身歌)」, 「화복론(禍福論)」, 「중심결(中心訣)」, 「보은록(報恩錄)」, 「조화록(造化錄)」, 「영가장(詠歌章)」, 「무도장(舞蹈章)」, 「입실가(入室歌)」, 「발원성취문(發願成就文)」, 「팔조목(八條目)」, 「나옹화상 서왕가(懶翁和尙 西往歌)」, 「사문거행명심사(斯文擧行銘心事)」, 「탄세가(歎世歌)」 등이다.

20수 중 주요 가사를 살펴보면, 「인선가」는 인간의 본심이 원래 착하다는 내용을 유교와 불교적 측면에서 노래하였고, 「지도문」은 남학의 교리와 사상을 밝히고 있는데 그 내용은 유교의 삼강오륜, 불교의 사해동포주의, 나눔의 경제관, 공동 소유의 토지관과 재산관, 천인합일의 우주관, 불교의 구원관과 내세관을 노래하였다. 「유불선 삼합문」은 남학 사상이 삼교융합이라는 특징을 종합적으로 노래한 다음, 천지인 합일의 우주관과 창조관, 유교의 인생관, 선교의 생업관, 불교적의 내세관을 차례대로 노래하였다. 「입실가」는 불교의 구도 과정을 심우도(尋牛圖)에 비유하여 참된 구도의 길을 노래하고, 「발원성취문」은 불교적 측면에서 구도의 길을 노래하였다. 「나옹 화상 서왕가」는 불교적 수도를 통하여 인생의 허무를 극복할 것을 노래하였는데 전체 내용은 서사와 총 8장의 본사로 구성되어 비교적 긴 가사의 작품이다. 「사문거행명심사」는 음양오행의 이치와 삼강오륜 및 인의예지의 도덕을 강조하고 불교적 입장에서 동학·서학·남학·북학으로부터 중학(中學)으로 나아갈 것을 노래하였다.

이상 남학 가사의 내용으로부터 불교를 중심으로 토착 민중 사상, 유·불·선 등의 사상을 두루 섭렵한 남학의 특징이 드러난다. 또한 토착민들에게 쉽게 포교하기 위하여 교리를 가사로 만들어 노래로 불렀던 것임을 알 수 있다.

[특징]

남학 가사는 일반 신도들도 남학의 교리와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만들어졌으며 남학의 포교 형태가 영가무도(詠歌舞蹈)[노래를 부르고 춤을 춤]를 통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알려준다. 남학 가사는 한문으로 된 남학의 교리를 한글로 번역하여 만들었다. 따라서 당시에 한문을 어떻게 한글로 번역하였으며, 한글의 형태는 어떠했는가를 알 수 있다. 또한 아래아와 이중 모음이 사용되고 충청과 전라 지역의 방언이 많이 사용되어 언어학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하다. 가사 형식은 고전 문학의 가사 형식인 3·4 혹은 4·4조 4음보로 긴 장가의 형태이다.

[의의와 평가]

영가무도를 통해 일반 신도들에게 쉽게 포교하였던 신종교인 남학이 한때 성행하였음을 알려 준다. 문학적으로는 가사 문학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한 예로 「나옹 화상 서왕가」는 기존의 「서왕가」와는 매우 다른 특이한 작품으로 앞으로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