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800943
한자 成汝完
이칭/별칭 이헌(怡軒),한생(漢生),문정(文靖)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대량리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송만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309년연표보기 - 성여완 출생
활동 시기/일시 1336년 - 성여완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371년 - 성여완 장형을 받고 유배됨
활동 시기/일시 1378년 - 성여완 정당문학 상의 제수
활동 시기/일시 1389년 - 성여완 포천 계류촌에 은거
몰년 시기/일시 1397년연표보기 - 성여완 사망
묘소|단소 성여완 묘소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고일리 산 30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창녕(昌寧)
대표 관직 정당문학 상의

[정의]

전라북도 진안군 옥천사에 배향된 고려 말 조선 초기 문신.

[가계]

본관은 창녕(昌寧). 초명(初名)은 한생(漢生), 호는 이헌(怡軒). 시호는 문정(文靖). 창녕 성씨(昌寧成氏)의 시조(始祖) 성인보(成仁輔)의 현손(玄孫)으로 할아버지는 전객사 부령(典客司 副令)을 지낸 성공필(成公弼)이고 아버지는 판도 총랑(版圖摠郞)을 역임한 성군미(成君美)이다. 어머니는 삼사 좌윤(三司左尹) 오천(吳蕆)의 딸이다. 조선 초기에 영의정을 지낸 성석린(成石璘)이 아들이다.

[활동 사항]

성여완(成汝完)[1309~1397]은 1336년(충숙왕 복위 5)에 문과에 급제한 후 춘추관 검열((春秋館檢閱), 군부 정랑(軍簿正郞), 양광도 안렴사(楊廣道按廉使), 상서 우승(尙書右丞), 지형부사(知刑部事), 어사 중승(御史中丞), 전법 판사(典法判事), 첨서밀직(簽書密直),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역임하였다.

1371년(공민왕 20) 성여완이 민부 상서(民部尙書)로 재직하고 있을 당시 신돈(辛旽)이 처형당하는 일이 있었는데 이 때 신돈과 같은 당류(黨類)로 지목되어 곤장을 맞고 유배를 갔다. 1378년(우왕 4) 다시 정계에 등장하여 정당문학 상의(政堂文學祥議)를 지냈다. 1389년(공양왕 즉위)에 이성계창왕(昌王)을 폐위하자 벼슬을 버리고 스스로 ‘왕방거사(王方居士)’라고 부르면서 경기도 포천 계류촌(溪流村)에 은거하게 된다.

성여완태조 이성계가 고려 구신(舊臣) 회유책으로 검교 문하시중(檢校門下侍中) 창녕 부원군(昌寧府院君)에 봉하고자 하였으나 극구 이를 반대하다가 마지못해 승학하고 만다. 그리고 또 태조가 경복궁 경회루에서 큰 잔치를 베풀고 자신을 초청하자 흰 옷을 입고 나타나 고려 충신의 절조(節操)를 나타냈다.

전라북도 진안 옥천사에는 성여완과 또 아들인 성석린의 위패가 배향되어 있는데 이는 물론 그들의 후손들 중 일부가 진안으로 낙향하였기 때문이라고 보아야 한다. 하지만 그들이 언제 어떠한 이유에서 진안으로 오게 되었는지는 알 수가 없다.

[묘소]

묘는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고일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성여완이 1397년(태조 6) 89세로 사망하자 조정에서 쌀과 콩 100석을 하사하여 장례(葬禮)를 돕도록 하였다. 유허비는 개성(開城)에 남아 있는데 두 번째로 세운 것이다. 즉 1596년(선조 29)에 성여완의 7세손인 성수익(成壽益)이 세운 첫 번째 유허비가 훼손되자, 1710년(숙종 36)에 외손인 권상유(權尙游)가 새 유허비를 만든 것이다. 1752년(영조 28) 3월에 이르러 성여완의 14세손인 성대열(成大烈)이 비각(碑刻)을 세웠다. 성여완의 위패는 진안군 동향면 대량리 창녕 성씨 사당인 옥천사에 주벽(主壁)으로 배향되어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