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801689
이칭/별칭 원일(元日),원단(元旦),정조(正朝),세수(歲首)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상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시 풍속
의례 시기/일시 음력 1월 1일

[정의]

전라북도 진안 지역에서 음력 1월 1일을 지내는 명절.

[개설]

설날은 새해의 첫 날을 기리는 명절이다. 정월은 한 해가 시작되는 첫 달이기 때문에 다른 어느 달보다도 해야 할 일들이 많다. 한 해의 계획을 세우고, 집안 식구의 무병장수와 한 해의 풍년 등을 기원한다. 특히 1월 1일은 원일(元日), 원단(元旦), 정조(正朝), 세수(歲首) 등으로도 불리는 새해의 첫날을 강조하는 날이다.

[연원 및 변천]

설날의 기원을 명확히 찾는 것은 어렵다. 다만 7세기 중국의 사서(史書)인 『수서(隋書)』와 『구당서(舊唐書)』에 신라 관련 기록으로 “매년 정월 원단에 서로 경하하며, 왕이 연희를 베풀고 여러 손님과 관원들이 모인다. 이날 일월신에게 배례한다.”고 하여 신라 때 설날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따라서 신라 이전부터 설을 명절로 지내왔을 것이라는 추정되며, 이후 조선 시대에 와서는 설이 중요한 명절 중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전라북도 진안 지역에서는 설날에 조상에 제사를 지내는 것을 정조 다례(正祖茶禮)라 한다. 동향면 능길 마을설날 아침에 조상을 위해 차례를 올리는 것을 ‘명절 제사’라 한다. 새해를 맞이한 것을 기념하여 지내는 것이다. 만약 차남이라면 조상상은 마련할 필요가 없으나 집안의 신령께는 간단하게 치성을 드린다. 메를 지어 삼신과 성주께 올리는데, 삼신 밥은 방바닥에 짚을 깔고 메, 국, 찬물을 각기 한 그릇씩 차리며, 성주께는 상에 메, 국, 찬물을 올린다. 메를 올린 후에는 서둘러 장손 집으로 간다. 장손 집 사람들은 전날 미리 와서 잠을 자고 차례를 준비한다. 제사를 모시려면 미리 빨랫줄을 거두어 둔다.

보통 7시경에 차례를 올리는데, 예전에는 영실(靈室)이 있어 집에서 곡을 하며 삭망 차례를 올리므로 그 이전에 밥을 올려야 한다. 안방의 윗목에 큰상을 놓고 그 위에 성주 밥과 조상 밥을 올리고 성주 밥 아래쪽에 삼신 밥을 놓는다. 큰상에는 조상의 오른쪽에 성주 몫을 놓는다. 삼신상은 짚을 깔고 밥, 미역국, 찬물을 각기 1그릇씩을 올린다. 조상 밥에는 숟가락을 꽂아 두고, 성주 밥에는 밥그릇 위에 걸쳐 놓는데, 삼신상에는 아예 올리지 않는다. 초하룻날 새벽에는 일찍 일어나서 대문을 활짝 열어 두는데 이를 ‘대문 일찍 열기’라고 한다. 문으로 복이 들어오므로 될 수 있으면 일찍 연다고 한다. 그리고 초하룻날 여자가 집에 들어오면 재수가 없다고 하여 여자의 출입을 삼가도록 한다. 복조리 걸기는 복이 들어오라고 매다는 것으로, 복조리 2개를 사서 서로 교차시켜 방문 위에 매단다.

설날에 가장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는 것은 세배이다. 진안읍 종평 마을은 차례를 마친 후에 집안 어른께 세배를 드리고 이후 동네 어른들을 찾아뵙는다. 마을의 상노인, 중노인께 세배를 올리는데, “과세는 편히 쇠셨습니까?”라고 덕담을 건넨다. 세배는 초사흗날까지 다니는데, 그 후로 가면 시간이 지났으므로 흉이 된다고 한다.

설날에는 광목에 물을 들여서 아이들의 설빔을 짓는다. 형편이 넉넉하면 색동저고리를 만들어 입히지만 여의치 않으면 흰색으로 지어 입힌다. 처음 구입한 광목은 붉은 색을 띠는데, 이것을 물에 적셔서 말리고 다시 적셔서 말리기를 반복하면 하얗게 된다. 하얗게 된 천으로 옷을 짓는다. 7~8세의 어린아이에게는 주머니를 만들어 채우는데 빈 주머니로 채우면 좋지 않다고 하여 1원이라도 넣어서 채운다. 그리고 ‘까마귀, 까치 밥주기’가 있다. 이는 차례를 마친 후 상에 올린 숭늉에 성주와 조상께 올렸던 메를 조금씩 담아 대문 앞에 짚을 놓고 쏟아 둔다. 이 밥은 ‘물밥’이라고 하는데 까마귀와 까치를 대접하는 것이다.

부귀면 회구룡 마을에서는 초하룻날이 용날이면 놉을 얻어 일할 때 비가 온다고 하여 새벽에 물을 긷지 않는다. 그리고 초하루가 맑아야 좋고, 보름은 궂어야 좋다고 하여 날씨로 점을 치기도 한다. 복조리 2개를 사서 방문 위에 엇갈리게 걸어 두면 복이 들어온다고 믿는다.

설날에는 덕담을 할 경우, “인제 그렇게 되지.”라고 축원하는 것이 아니라 “벌써 그렇게 되셨다니 반갑습니다.”고 한다. 예를 들면 “금년에는 부자가 되셨다지요”라고 한다.

진안군 마령면 원강정 마을에서는 설날 아침이 되면, 각 가정에서는 아침 일찍 차례를 모신다. 차례 상은 선영 상과 성주 상을 차리며 상 위에는 밥과 떡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음식을 올려놓는다. 선영 상보다는 성주 상을 먼저 차리는데, 성주 상은 방안 윗목 동쪽에, 제사상은 북쪽을 향하도록 한다. 설날이 되면 떡국을 만드는데, 떡국은 차례 상에 올리지 않고 가족이나 손님을 대접하기 위해 장만 한다.정월의 첫 12지일에는 과거부터 여러 가지 금기가 행해졌는데, 특히 정월의 첫 소날과 용날 및 양날을 조심하였다.

용날에 물을 긷지 않는데, 그날 물을 긷게 되면 그해 농사지을 때 비가 온다고 한다. 그리고 소날에 연장을 다루면 연장이 부러진다고 해서 절대 연장을 만지지 않으며, 칼질을 하면 소가 여물을 먹지 않는다고 하여 칼질을 하지 않는다. 양날에는 쌀날이라 하여 그날에는 논에 퇴비를 가져다 놓으며 농사가 잘 될 것을 기원한다.

진안군 백운면에서는 ‘떡국 한 그릇을 먹어야 나이 한 살 먹는다’는 말처럼 설날 대표적인 음식인 떡국을 차례 상에 올린다. 섣달 명절 준비를 위해 미리 떡살을 준비한다. 떡은 가래떡, 흰떡 등으로 부르는데, 맵쌀을 깨끗이 씻어 담아 두었다가 방아를 찧어 떡가래를 뺀다. 하루 정도 그늘에 말려 살짝 굳게 한 다음 적당한 굵기로 떡을 썬다. 떡국을 끓일 때에는 먼저 멸치나 잘게 다진 소고기를 들기름에 볶은 다음 물을 부어 국물을 만들고 떡을 넣는다. 이때 두부를 함께 넣어 먹기도 한다. 양념은 마늘과 파 등을 넣어 끓이는데 간장으로 간을 맞추고 떡이 끓으면 계란 지단와 김을 고명으로 얹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