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367
한자 金德齡恩綸碑
영어공식명칭 Memorial stone of Kim Deokryeong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송강로 13[금곡동 1023]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수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42년연표보기 - 김덕령은륜비 건립
현 소재지 충장사 - 광주광역시 북구 송강로 13[금곡동 1023]지도보기
원소재지 배재마을 -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899 지도보기
성격
관련 인물 김덕령
크기(높이, 너비, 두께) 1.69m[높이]|62㎝[너비]|35㎝[두께]

[정의]

광주광역시 충장사에 있는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김덕령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개설]

김덕령은륜비(金德齡恩綸碑)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으로 활약한 김덕령(金德齡)[1567~1596]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1842년에 세운 비이다.

[위치]

원래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배재마을에 있었다가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충장사(忠壯祠)로 옮겨 세웠다.

[형태]

비신의 높이 1.69m, 너비 62㎝, 두께 35㎝이다. 비석 전면, 측면, 후면에 모두 40행의 비문이 새겨져 있다.

[금석문]

김덕령은륜비의 비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다. "지난 정묘(正廟) 무신(戊申)년에 김 장군의 마을에 김 장군의 유업(遺業)을 기리는 표리비(表里碑)를 세우라는 임금의 교시(敎示)에 의해 갑자기 빗돌을 마련하여 이를 다듬으면서 약간의 흠집이 생기었다. 이 소식을 들은 정조께서 이 돌을 버리고 보다 견고한 돌을 사용하라는 명령에 의해 다시 새로운 돌을 구하였다. [중략] 옛날의 그 돌이 마치 오늘의 이 날을 위해 존재하는 듯한 깊은 감회가 있기 때문에 표리비가 있는 그 근처에 이 비를 세워 그 이름을 은륜(恩綸)이라 하였다."

[참고문헌]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http://www.gjsgcc.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